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뇌에 생긴 암세포도 줄기세포가 골라낼 수 있는지 현재 연구 중이다. 줄기세포가
발견
된 이후 수십 년 동안 과학자들이 모르고 지나쳤던 사실이 있다. 줄기세포가 ‘의사’처럼 손상부위를 직접 복구하는 줄만 알았는데, 알고 보니 ‘간호사’처럼 옆에서 치료를 돕는 역할을 할 때가 더 ... ...
[과학뉴스] 쿼크 6개로 이뤄진 新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이후 50년 가까이
발견
되지 않다가, 올해 쿼크 2개와 반쿼크 2개로 이뤄진 새로운 입자가
발견
되며 확인됐다(테트라쿼크). 2011년에는 8개국 120여 명의 과학자들이 쿼크 6개로 이뤄진 신종 입자가 존재할 수 있다고 예측하고, 이 입자에 ‘이중중입자’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번에 측정한 입자는 바로 이 ... ...
거미는 ‘귀’가 8개?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진동 소리의 주파수 영역은 대부분의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보다 훨씬 넓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거미줄에 따라 상당히 다른 진동을 일으킨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거미가 다리로 거미줄을 튕기면서 진동을 확인하는 습성이 있으며, 수백nm의 차이도 감지할 수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거미가 마치 ... ...
십자매는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교수와 필자 등이 명금류인 십자매를 연구하게 된 계기다. 십자매에게서 언어의 규칙을
발견
하다십자매는 일본에서 탄생한 가금(기르는 새)이다. 에도 시대(1603~1868년)에 중국과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던 십자매의 야생 원종(흰허리핀치의 일종)이 수입된 것이 시작이었다. 야생 원종은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거지?”‘드론’을 움직이는 사원수지난 3월, 북한에서 날아와 추락한 무인기가
발견
되면서 최근 ‘드론’이라고도 부르는 무인기에 대한 관심이 부쩍 커졌다. 하지만 드론은 1900년대 초반부터 군사용으로 개발되기 시작했을 정도로 역사가 오래 됐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군은 실제로 드론을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착실히 한 일이 있다. 우리는 착륙지점 1m 지하에서 대량의 얼음과 드라이아이스를
발견
했다. 그래서 원자력 및 태양광 발전기로부터 나오는 20kW의 전기를 이용해 산소와 이륙선의 연료가 되는 액체 산소와 메탄을 생산했다. 하루에 각각 100kg과 50kg 정도의 양이었다. 산소는 우선 승무원들의 생존을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결과 스페인이 패스를 한 횟수가 독일보다 40%가량, 네덜란드보다 2배가량 많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특히 스페인은 미드필드에서 패스가 집중됐다.패널에 따라 달라지는 공기흐름홍성찬 박사가 흰 연기(사염화티타늄)를 이용해 날아가는 축구공 주변의 공기흐름을 세계 최초로 시각화했다. 축구공 ... ...
아이티의 난파선, 산타마리아호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아이티 북부 해안에서
발견
된 난파선이 좌초된 지 500여 년 된 산타마리아호의 잔해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산타마리아호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향한 첫 탐험 항해를 떠날 때 이용했던 주력 선박이다. ...
서울숲에는 얼마나 많은 생물이 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4시간 꼬박 숲을 관찰하면 얼마나 많은 생물을
발견
할 수 있을까. 생물다양성 번개모임인 제5회 ‘바이오 블리츠(BioBlitz)’가 6월 14일 서울시 성동구에 위치한 서울숲 공원에서 열린다. 바이오 블리츠는 일반인들이 만 하루(24시간) 동안 생물전문가와 함께 행사 지역의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을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아예 색을 구분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도 예외가
발견
됐습니다. 원시원숭이에 속하는 ‘시파카’ 한 종과 ‘여우원숭이’ 한 종이 3원색을 구분할 수 있었던 거예요. 단, 신세계원숭이처럼 색각이 개체마다 달라서 일부만 3원색을 볼 수 있었습니다. 원인은 X염색체왜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