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1화] 렌즈로 보는 새로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관찰하다가 멀리 있는 물체가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발견한 것이 망원경의 시작이었지요. 리퍼세이가 발명한 망원경은 약 3배 정도의 배율을 갖고 있었답니다. 스미스소니언 현미경과 망원경으로 멋지게 관찰해요!우리의 머리카락을 크게 확대하면 어떻게 보일까요? 달의 울퉁불퉁한 ... ...
- [Issue] 봄 산불, 해충이 막는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피해도 적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어떻게 된 걸까.올해도 어김없이 시작됐다. 새해가 시작하자마자 칠레에서 산불이 발생해 서울 면적의 두 배가 사라졌다. 미첼 바첼레트 칠레 대통령은 “역사상 최악의 산불을 겪고 있다”며 피해 지역에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3월에는 미국 중서부를 비롯한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툴리 괴물 논쟁의 다음 막이 오르기 직전이다. 또 어떤 논의가 시작될지, 흥미롭게 지켜보자. +더 읽을거리빅토리아 맥코이 외, ‘툴리 괴물은 척추동물이다’(doi:10.1038/nature16992)토마스 클레멘츠 외, ‘툴리몬스트룸의 눈이 척추동물과의 관련성을 밝히다’(doi:10.1038/nature176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내리는 것을 정확히 맞히자, 형식적인 내용의 알맹이 없는 답변이라도 답변을 보내기 시작했다.그 후에도 나는 꾸준히 글을 올려서 둑을 쌓아 달라고 거듭 요청했다.“지금까지보다 훨씬 더 심각한 폭우가 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드시 둑을 보수해야 합니다.”얼마 후에는 “선생님, 시청 방재팀 ... ...
- 앱 만드는 선생님 나훈희 교사수학동아 l2017년 04호
- 학생들을 위해 직접 교육용 앱을 개발하고 수업에 활용한다는 나훈희 교사를 만나봤다.시작은 이랬다나 교사는 게임 이야기부터 꺼냈다. 컴퓨터를 좋아해 컴퓨터 교육을 전공했다는 나 교사는 학창시절 누구 못지않게 컴퓨터 게임을 좋아하는 학생이었다. 어떤 게임을 좋아했냐는 기자의 질문에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왕자의 도플갱어가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왕자님이 잠든 뒤 복제 실험을 시작했습니다.”방문을 열고 들어온 복제 전문가의 말에 로봇 왕자는 졸음이 확 달아났습니다.“이제 성 바깥으로 나갈 수 있는 거군요! 야호!”흥분한 왕자와 달리 복제 전문가는 침착하게 말을 이었습니다.“어젯밤, 왕자님이 잠든 뒤 저는 주사위를 던졌습니다. ... ...
- [가상인터뷰] 개코원숭이도 “아에이오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처음으로 밝혀졌지요.연구팀은 인간의 명확한 발음 능력이 ‘긴꼬리원숭이’ 때부터 시작되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준다고 말했어요. 그리고 이번 연구 결과를 진화학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지요.저는 박사님을 도와 주러 가 봐야 할 것 같아요. 아쉽지만 다음에 또 ... ...
- [특별 인터뷰] 희귀질환 어린이들을 돕는 과학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 있어요. -처음 활동을 시작할 때는 학생이셨나요?최: 네. 그래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할 돈이 없었죠. 하하~. 돈을 마련하기 위해 우선 ‘레인(RAIN)’이란 팀을 꾸려 창업 공모전에 뛰어들었어요. 2014년 11월 ‘제1회 메이킹 모어 헬스 체인지메이커 발굴 프로젝트’에서 우승하고, 2015년 2월 ... ...
- [Future] 기억의 우주에서 불멸이 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하지만 오늘날의 바이오닉 기술들도 모두 상상에서 시작됐다는 사실을 떠올린다면 50년, 아니 30년 뒤에는 인터넷 상의 정보를 머릿속에 다운로드 받는 것이 당연해질지도 모른다. 기억을 칩 하나에 저장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1980년대 초, 최초의 인공심장이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당신의 밤을 달콤한 꿀잠으로 채우기 위해 스마트폰을 내려놓고 규칙적인 생활을 시작할 때다. +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잠과 꿈의 몽상학’(2014.05)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405N043기획 ‘겨울잠 스위치 켜고 우주여행 떠나자’(2014.01)dl.d ...
이전3833843853863873883893903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