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싹 오싹~ 귀신의 집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그런데 얘들아, 저 맨 아래에 있는 독 5개에 물이 몇 바가지씩 들어가 있는지 알아 내
줄
래? 그것만 알면 꼭 물을 다 채우지 않아도 이일을 마쳐도 된대.”자, 맨 마지막 5개 독에 들어 있는 물의 양을 계산해 불쌍한 콩쥐를 구하자. 맨 위에 있는 독에 부은 물은 독에 나 있는 구멍을 통해 아래에 있는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부모님과 갈등을 겪기도 해. 친구들도 이런 고민을 해 본 적이 있지?이런 고민을 풀어
줄
곳이 있어. 얼마 전 카트라이더, 메이플스토리 등으로 유명한 넥슨에서 바른 게임 생활을 안내해 주는‘넥슨 스쿨존’이라는 홈페이지를 만들었거든. 그래서 명예기자 성철이와 성은이가 직접 찾아가 보았단다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대표 저서로 ‘뇌영상과 정신의 이해’가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손해인
줄
알면서 주식 파는 이유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서적을 읽고 그 뜻을 새기는 시험이었으며, 계산은 시헌력으로 일·월식 날짜를 계산할
줄
아는지 판단하는 시험이었다. 이렇게 전문적인 내용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시험 자격은 생도(관직에 임명되기 전 소속 관아에서 학문과 기술을 익히던 사람)에게만 주어졌다. 그 밖에 취재라는 오늘날의 승진 ... ...
고릴라 고환이 사람보다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문화가 발달해도 정욕과 욕망은 동물적인 성질을 유지했다. 그리고 동물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다. 짝짓기 충동이 없다면 인간의 삶은 무미건조하고 지루해졌을 것이다.‘우리가 동물들 짝짓기까지 알아야하나?’이런 생각으로 이 책을 펼쳐드는 사람은 몇 페이지 넘기지 않아 자세를 바로 잡을 ... ...
겨울 재촉하는 밤하늘 불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컴퓨터 CPU나 반도체 칩에 냉각팬을 다는 것처럼 DSLR에도 냉각팬을 달면 노이즈를 많이
줄
일 수 있다. 보통 DSLR을 천체사진용으로 개조한 ‘냉각DSLR’을 시중에서 구할 수도 있다. 하지만 냉각DSLR은 본체가 무거운 단점이 있다. 그래서 천체사진을 찍는 사람들 대부분은 가볍고 색감이 풍부한 ... ...
손해인
줄
알면서 주식 파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정신 질환자들의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손해인
줄
알면서 주식 파는 이유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 ...
[생태학]물고기 리더는 뚱뚱하고 몸 색깔 진해야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시드니대 애슐리 와드 교수는 “물고기들은 둘 중에 누가 자신에게 먹이를 잘 먹여
줄
것인지를 기준으로 결정하는 것 같다”며 “뚱뚱한 물고기가 날씬한 물고기보다 먹이를 풍족히 먹었기 때문에 그런 외모를 가졌을 거라고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한편 큰가시고기는 무리가 클수록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파며 찍었고, 공룡이 달리다 방향을 바꾸는 장면을 찍기 위해서는 기다란 물체를 양쪽에
줄
로 매달아 사람이 끌기도 했다. 올리브 스튜디오 최오신 PD는 “보통 블루마스크를 씌워 촬영했다가 나중에 이 위치에 3차원 공룡을 제작해 입힌다”며 “배경을 촬영하는 모습만 봤다면 뭐하는 거냐고 ... ...
미래의 환경 전사, 레버쿠젠에 모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아주대 산업공학과) 씨는 “커피 한 잔에 물 140L, 쇠고기 1kg에는 물 1만 6600L나 필요한
줄
은 몰랐다”며 “물 소비에 관한 새로운 생각을 일깨워줬다”고 말했다.차화영(서울대 국제대학원) 씨는 “가상의 물 이론도 재미있었지만, 보른바서 박사의 ‘물은 경계를 모른다’라는 말이 기억에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