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9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약재의 실제 효능 한 눈에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7
넣었더니 유해물질인 활성산소가 발생한 부위에서
빛
을 잃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빛
의 밝기 변화로 특정 물질을 검출하는 바이오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박 교수는 “한방에서 전통적으로 쓰던 천연물에는 다양한 물질이 섞여 있는데 이들이 몸 속 어디에서 작용하는 지를 ... ...
현대사회, '비판'의 목소리가 중요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4.01.26
노동자는 노동자들의 권리를 외면한다. 이런 상황일수록 비판의 가치는
빛
을 발한다. 비판의 목소리는 분명히 차별적인 '번역기술'로 행위자들을 자기 네트워크로 끌어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해봤자 변하는 게 없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나누지 않는다면, 그것은 이미 죽은 네트워크나 ... ...
“운전 중 가장 좋은 자세는?” 귀성길 안전 운전 팁
동아일보
l
2014.01.24
차량 운행에도 피해를 끼친다. 뒤차의 상향등은 앞차의 사이드미러나 룸미러 등에
빛
이 반사돼 눈부심이 발생할 수 있다. #실내 공기 청결해야 귀성길도 쾌적 창문을 닫고 장시간 히터를 틀면 산소 부족과 높은 실내 온도로 졸음운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적정 온도를 유지하면서 정기적으로 ... ...
‘나노횃불’로 생체현상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3
작은 구멍이 촘촘히 나있는 금속칩 위에 관찰하려는 세포를 올려놓고 칩 아래에서
빛
을 쪼였다. 그 결과 나노횃불이 세포 내 생체 분자를 투과하면서 선명한 영상이 나타났다. 이 나노칩을 이용하면 생체 분자의 분포를 20nm 크기까지 분석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이 정도의 해상도를 관찰하려면 ... ...
별에서 온 그대 vs 감자별 2013QR3
동아사이언스
l
2014.01.23
2013년 2월 15일 러시아 첼랴빈스크 주 상공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화구. 태양보다 밝게
빛
나고 있다. - Aleksandr Ivanov 제공 조선 광해군 때 강원도에 나타났던 것도 화구일 가능성이 높다. 우레 소리가 나고 햇무리 같은 형체를 한 것이 화구를 닮았기 때문이다. 문제는 땅으로 곤두박질쳤다는 기록은 ... ...
선천적 시력 장애, 유전자 치료로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9
결과, 유전자 주입 6개월 후 모든 환자들은 부작용 없이 시력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었다.
빛
을 감지하는 능력도 좋아지고, 일부 환자는 글자를 읽을 수 있는 수준까지 상태가 개선됐다. 맥라렌 교수는 “시력이 본래는 정상이었다가 유전병 때문에 안 좋아진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유전자 ... ...
장시간 봐도 눈부심 없는 컬러 전자책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5
수준의 고무 캡슐로 만들었다. 이 캡슐을 소금물에 넣자 농도에 따라 형태가 변하면서
빛
의 반사율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김신현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으로, 우선은 지금까지는 흑백으로만 가능했던 ‘전자잉크’를 컬러로 만들 수 ... ...
유리가
빛
·오염물질 ‘스스로 차단’ 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4
나노선을 일렬로 배열한 후 겔 상태의 이산화티타늄을 감싼 것이다. 이렇게 만든 물질에
빛
을 쪼이면 배열된 은 나노선 사이에서 전자공명이 일어나 전자기장이 증폭돼 전자를 더 많이 전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은 나노선을 배열할 때 여러 방향으로 기울이며 경사각도를 ... ...
유기용매를 버리고
빛
을 맞으니 청정고분자 되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2
연결돼 고분자가 생성되는 반응이다. 이심성 교수는 “헤링본 패턴의 금속초분자에
빛
을 쏘이면 분자가 서로 엮이면서 공간이 생긴다”라며 “이 공간에 수소나 이산화탄소를 가두 ‘미래 10대 기술’ 중 하나인 기체 저장공간으로써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 ...
KSTAR, 알고보니 타임머신?
동아사이언스
l
2014.01.12
시공간이 떨어져 있는 두 지점을 연결하는 통로인 ‘웜홀’이라는 현상을 이용하면
빛
보다 훨씬 빠르게 시간이 거꾸로 흐르는 상황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또 차원이 다른 세계에 나와 다른 삶을 사는 또 다른 내가 존재할 수 있다는 ‘평행우주이론’을 이용해 시간여행의 불가능을 설명하는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