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뉴스
"
약
"(으)로 총 14,721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가장 정밀한 SMACS 0723 은하 구조 보여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2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촬영한 총 천연색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지구에서
약
46억 광년 떨어져 있는 SMACS 0723 은하단을 촬영한 것으로 현재까지 인류가 촬영한 우주 사진 중 가장 높은 해상도를 자랑한다. SMACS 0723 은하단의 가장 정밀한 구조를 볼 수 있다는 의미다. 양성철 ... ...
[제임스웹 첫 영상공개]제임스웹은 어떤 우주망원경인가
2022.07.12
서서히 몸체를 펼치는 작업을 진행했다. 그래서 시야각이 넓고 오차도 적다. 대신 영하
약
220도의 극한 환경을 버텨내야 한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으 임무 기간은 5~10년이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프로젝트 초기부터 참여한 존 매더 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수석연구원은 2018년 미 정보기술(IT) ... ...
[제임스웹 첫 영상 공개]제임스웹의 후속 우주망원경들
과학동아
l
2022.07.12
관측할 라이트버드(LiteBIRD)를 2027년 발사할 계획이다. 이는 초기 우주가 생성된 후
약
10~38초 동안 방출된 원시 중력파를 관측할 수 있다. 전 우주의 우주배경복사(CMB)를 측정해 우주 급팽창의 흔적을 찾아 나설 예정이다. 34~448GHz(기가헤르츠·1GHz는 10억Hz)의 15개 대역을 감지한다. 인도우주연구기구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천체 사진 첫 공개...바이든 대통령 맛보기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7.12
150만km 떨어진 임무지역인 라그랑주 L2 지점에 안착했다. 지구와 달 사이 38만5000㎞보다
약
4배 먼 거리다. 라그랑주 L2는 우주 관측에 유리하다. 중력과 원심력이 상쇄돼 빛의 왜곡이 없다. 태양이 지구 뒤에 가려져 햇빛의 방해도 받지 않는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목적지에 도착 후 우주 환경에 ... ...
지난해 한반도 탄소·메탄 농도 각각 최댓값 경신…"증가 추세 이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2
전년도 대비 17ppb가 상승한 1896ppb로 기록됐으며 이는 산업화 이전 전지구 평균(722ppb)의
약
2.6배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기후 과학자들은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 연구관은 “메탄은 대기 중에서 분해되는데 10년, 이산화탄소는 100년이 걸린다”며 “지금처럼 ... ...
소행성 베누 '볼풀' 같아 시료채취 우주선 하마터면 파묻힐 뻔
연합뉴스
l
2022.07.11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발사한 '하야부사2'가 미국보다 한발 앞서 2020년 12월
약
3억2천만 ㎞밖 소행성 류구(龍宮)에서 채취한 것을 전달받아 이미 연구 결과를 내놓는 상황이다. 소행성 류구 표면서 채취해 온 토양 및 암석 시료. JAXA 제공/ EPA 연합뉴스 제공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첫 풀 컬러 사진, 바이든 대통령이 공개하기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150만km 떨어진 임무지역인 라그랑주 L2 지점에 안착했다. 지구와 달 사이 38만5000㎞보다
약
4배 먼 거리다. 라그랑주 L2는 우주 관측에 유리하다. 중력과 원심력이 상쇄돼 빛의 왜곡이 없다. 태양이 지구 뒤에 가려져 햇빛의 방해도 받지 않는다. 제임스웹과 태양, 지구 배치도. 실제 거리를 그림에 ... ...
14일 오전 3시 38분 올해 가장 큰 보름달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1024km로 평균거리보다
약
1만 6000km 이상 멀어졌다. 올해의 가장 큰 달과 작은 달의 크기는
약
12% 정도 차이가 난다. 슈퍼문은 14일 오전 4시 5분에 질 예정이다. 슈퍼문이라는 용어는 1979년 미국 점성술가 리차드 놀이 처음 제안했으나 천문학적 공식명칭은 근지점 삭망이다. 달과 지구의 물리적인 ... ...
기후모델 개선 마지막 퍼즐 해저정밀 지도 4분의 1 완성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관측 데이터를 기부하기도 했다. 지금까지 만들어진 해저 정밀 지도를 제외한 나머지
약
77% 면적의 해저 지형에 대한 지식은 부족하다. 높은 해산이나 깊은 해구의 존재 여부를 저해상도 위성 관측 데이터로부터 추정하고 있다. 위성으로는 가로 세로 각각 1km인 해상도로만 해저 지형을 관측할 수 ... ...
방사선 노출량 30% 줄이는 X선 부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냉음극 X선 튜브를 적용한 X선 장치로 의료영상을 촬영할 경우 불필요한 방사선 노출량을
약
30% 가량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철진 교수는 “이번에 공개한 냉음극 X선 튜브는 작동을 위한 전압이 낮아 배터리만으로도 구동이 가능하다”며 “향후 앰뷸런스나 군부대, 이동형 보건소에서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