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76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어를 바다로 돌려보낸 액티브 시니어
팝뉴스
l
2017.12.25
갇혔으니 빠져 나가도록 도와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종류가 확인되지 않은 1미터
크기
의 상어는 운이 좋았다. 측은지심이 강한 사람을 만나 다시 바다로 되돌아 갈 수 있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 ...
괴물같은 필리핀에서 발견된 조개
팝뉴스
l
2017.12.25
조개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200년 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조개가 들어가 사는 야구배트
크기
의 관이 화석으로 발견된 적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살아 있는 채로 잡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댄 디스틀은 화석으로만 알려졌던 공룡을 실제로 발견한 기분이라고 말했다. 영국 가디언과 인터뷰한 ... ...
장내미생물이 알려주는 내 몸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7.12.22
10억 분의 1m)
크기
의 작은 물질로, 세포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크기
가 아주 작은데다가 세포막 성분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장간막을 통과할 수 있어 혈액과 소변에도 나노 소포체가 들어 있다. 특히 각 나노 소포체는 어떤 세포에서 나왔는지 알려주는 유전정보를 담고 ... ...
[과학&기술의 최전선] 병든 세포 실시간 추적으로 암 조기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소량의 암세포까지 쉽게 찾을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또 입자
크기
가 작은 만큼 세포에 잘 흡수되고 부피 대비 표면적이 넓은 데다 체내 체류 시간이 길어 적은 양으로도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 광학영상 나노램프를 개발한 권익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은 ... ...
35억년 전 생명 탄생 증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PNAS) 18일자에 발표했다. 1992년 호주 필버러 지역 아펙스 처트 지층에서 발견된 이 화석은
크기
가 고작 10~2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밖에 안 되는 미(微)화석이다. 아펙스 처트 층이 34억6500만 년 전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 화석 역시 같은 시기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미화석 ... ...
[미래산업②]新시장 혁명 나선 한국형 인공장기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내피세포 등과 섞어 간 싹(liver buds)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 간 싹이 비록 콩알만 한
크기
에 불과하지만, 이 싹을 동물의 병든 간에 주위에 이식해 주면 혈관이 연결되면서 실제로 간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용 쥐를 이용해 증명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제공 오가노이드 외에 세포기반 ... ...
빅데이터활용 VS 개인정보보호,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0
긴 수를 근사계산을 이용해 빠르게 수행하는 방법을 도입했다. 천 교수는 "데이터
크기
가 커지면 속도 차이는 더욱 커진다"고 말했다. 천 교수팀은 이 새 알고리즘을 이용해 1500명의 유전자 해독 정보 수천 개를 암호화시킨 상태 그대로 정확히 분석해 유방암 발생 유전자의 변이 유무를 빠르게 ... ...
[동영상] 물 속에서 더 잘 붙는 접착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9
특징을 가진다. 연구팀은 하이드로겔로 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크기
미세 구조를 만들었다. 압정처럼 넓적한 머리에 얇은 기둥을 가진 미세 구조물은 지퍼처럼 서로 맞물리며 접착력을 만든다. 특히 이 구조를 만드는데 이용한 주 재료인 하이드로겔은 물에 젖으면 부피가 커진다. ... ...
플라스틱이 물벼룩 생존 위협한다
과학동아
l
2017.12.19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9월 21일자에 발표했다.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
가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이하인 아주 작은 플라스틱 입자를 말한다. 합성섬유 조각과 타이어 마모 입자 등 일상 생활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빗물에 씻겨 호수나 강 등 담수 생태계로 이동한다. ... ...
수도권 큰 눈 어디서 왔을까? 서해 수증기가 근원
동아사이언스
l
2017.12.18
눈 구름이 수도권으로 유입되는 경우다. 18일 처럼 적잖은 눈이 내릴 때도 있지만 서해의
크기
가 작아 상대적으로 적은 눈이 내린다. (2)의 경우처럼 드물게 동풍이 불 경우는 큰 동해에서 생긴 눈 구름이 유입 될 수 있지만 대부분은 태백산맥에 가로막혀 주로 강원 영동지역에 눈을 뿌린다. - (주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