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에서 가장 황당한 연구, 2013 이그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두 가지 조건만 갖추면 사람도 물 위를 걸을 수 있다는 꿈 같은 사실을 알아냈어요. 두 가지가 뭐냐고요? 하나는 물갈퀴 신발을 신고 열심히 달리기고, 다른 하나는 달처럼 중력을 낮추는 거예요. 즉 사람이 달에 가서 물갈퀴를 신고 열심히 달리면 물 위를 걸을 수 있다는 얘기죠.우리는 이 사실을 ... ...
- 너무 춥고, 너무 더운 날씨 북극에서 답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북극 만년설 빙하를 녹여서 그대로 마시는 물로 판매할 정도로 깨끗한 환경을 가지고 있답니다. 환경과 생태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살피기에 딱 좋은 곳이겠죠?3. 북극에는 미래자원이 숨어 있다!북극해에는 에너지원으로 쓸 수 있는 자원이 매장돼 있어요. 미국지질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 ...
- 백두대간에는 신갈나무도 있고, 하늘다람쥐도 있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30종이나 살고 있는 자연의 보물창고랍니다. 마침 곧 단풍철이네요. 예쁜 단풍과 여러 가지 열매가 산을 가득 덮어서 정말 멋지니 꼭 한 번 더 와 주세요~. 응? 백두대간 생태탐사를 위해 오신 게 아니라고요?잠깐, 생태탐사? 이게 그걸 위한 지도야?지금 손에 들고 계신 건 산림청과 녹색연합이 만든 ... ...
- 화합물 VS 혼합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쉬운 대표적인 혼합물이에요. 소금과 물을 섞은 소금물은 소금이 가진 짠맛을 그대로 가지고 있지요. 우유에는 단백질과 지방 같은 여러 물질이 섞여 있는데, 물리적으로 단백질을 분리해서 치즈를 만들고, 지방을 분리해 버터를 만든답니다. 커피나 술처럼 물을 섞어 만든 음료수는 모두 ... ...
- 부력으로 둥둥 물로 가는 친환경 보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나아가는 건 반작용의 결과지!저는 기둥에 물을 가득 채워 볼래요! 그럼 보트도 빨리 가지 않을까요?음음~. 아까 부력이 물체의 무게에 반비례한다고 말했잖아. 물론 물을 많이 넣으면 보트 속도가 빨라질 수 있지만 무게도 무시하면 절대 안 돼~! 물을 너무 많이 넣어서 보트 무게가 무거워지면 ... ...
- 뉴칼레도니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박흥식 박사님이 꼼꼼하게 지도해 주신 덕에 바닷속에서 안전하게 산호와 여러 가지 열대어, 해삼 같은 해양생물을 볼 수 있었어. 이렇게 투명한 에메랄드 빛 바다는 처음 봤지?탐사대원들이 스노클링을 즐기는 사이 나는 넋을 잃고 바다를 바라봤지 뭐야.뉴칼레도니아에서 찾은 나만의 ... ...
-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않도록 유지해야 해. 어떻게 하면 소중한 시력을 지킬 수 있을까? 나, 눈알이가 여섯 가지 방법을 알려 줄게!1. 어두운 곳에서 책이나 TV를 보지 않기.2. 가까운 곳을 보는 중간에도 가끔 먼 곳을 바라보기.3. 음식을 골고루 먹기.4. 적당한 운동을 하기.5. 손을 항상 깨끗이 씻기.6. 6개월에 한 번씩 ... ...
- 원자력이 안전해? 정말? 정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➋ 방사선을 이용한 연구?포항가속기연구소에서는 방사선의 일종인 X선을 이용해 여러 가지 연구를 하고 있어. 가속기는 전자나 양자를 빛의 속도, 즉 광속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기기지. 빠르게 달리는 입자끼리 부딪히면 구조나 특성을 자세히 알 수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강하고 ... ...
- 쉬운 일 어렵게 하는 과학장치 골드버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과학원리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고. 이런 엉뚱한 장치를 상상한 골드버그 아저씨도 한 가지 모르고 지나쳤던 게 있는 것 같아. 복잡하고 비생산적인 작업을 하는 게 사실 재미있다는 점 말이야! 섭섭박사한테 이런 예술가 기질이 있는 건 처음 알았지? 으하하하~.참여독자 ♥ 손서영(성남 늘푸른초 ...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설명했다.큰 눈덩이 위에 작은 눈덩이를 쌓으면 단단한 눈사람이 만들어지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눈덩이 표면이 서로 만나면 표면의 물 층이 다시 얼음으로 바뀌어 단단하게 한 덩어리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왜 우리 눈으로는 얼음 위의 물 층을 볼 수 없을까? 물 층이 돋보기로도 안 보일 정도로 ... ...
이전3843853863873883893903913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