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각종
몇몇
d라이브러리
"
여러
"(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허공에 대고 터치터치! 제스처의 수학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허공에서 이뤄지는 제스처는 한 번에 입력하기가 쉽지 않다. 같은 동작 또는 같은 말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하거나, 전혀 다른 기능으로 알아듣기도 한다. 제스처가 키보드와 마우스를 대체하려면 기기가 제스처를 한 번에 정확하게 알아들을 수 있는 기술도 필요하다.그래서 캐나다 제스처 ... ...
자작곡 어렵지 않아요! 음악 만드는 소프트웨어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그리고 피아노와 드럼, 기타 등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악기를 골라 멜로디를 만들고
여러
연주를 합하기만 하면 자작곡이 완성된다.삼성전자는 ‘사운드캠프’라는 앱을 통해 누구나 작곡과 연주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악기 트랙별로 음원을 따로 녹음할 수 있어 음악 스튜디오에서 ... ...
손님 차별? 사람따라 깎아주는 할인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기업은 소비자가 스스로 지불용의를 드러내게 한다. 즉, 애초에 같은 성격의 상품을
여러
품질로 나눠 제공하고, 품질에 따라 가격을 차별한다. 소비자가 본인의 지불용의에 맞춰 직접 상품을 선택하도록 한 것이다.대표적인 예가 삼성의 ‘갤럭시’ 스마트폰이다.삼성은 갤럭시 노트 5 같은 고가의 ... ...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바다에 적응하는 훈련 공간으로 이용됐답니다.이 돌고래들을 야생에 방류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일이 많이 있었어요. 그중에서도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삼팔이의 가두리 이탈 사건이었답니다.“삼팔이가 가두리를 탈출했어요!”삼팔이와 춘삼이가 가두리로 이송된 지 두 달이 훨씬 지난 2013년 ... ...
수학자 열전 한국 근대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지난 10월 23일과 24일 연세대학교에서 한국 근대 수학 100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 수물과 설립 100돌을 맞아 다채로운 행사가 ... 현대 수학의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어요. 이 업적으로 캐나다 학술원 회원이 되었어요. 세계
여러
인명사전에 제 이름이 올랐고요 ... ...
고리포터가 밝히는 햄 기사의 진실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그룹을 나눴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1군이 되기 위한 상대적 위험률의 기준은 없습니다.
여러
요인을 가지고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거지요.보고서 800건이 지목한 햄햄이 발암물질로 분류된 건 오랜 시간동안 쌓인 보고서의 영향이 컸습니다. IARC는 가공육이 암 발병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에 관한 ... ...
가상 체험으로 보는 미래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움직임을 멈추고 손을 듭니다. 그러자 사진 촬영이 됩니다. 스크린 주변에 달려 있는
여러
개의 센서가 신체의 움직임을 인지해 작동합니다. 덕분에 마치 장소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게임과 공부를 동시에!디지털과 아날로그가 결합된 게임을 하는 라이브체험관도 있습니다. 공을 디지털 ... ...
뇌의 미시순환계를 보는 장치, 한국인이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송 교수는 “산화아연 미세광 전극체를 다발로 묶어 뇌신경의
여러
지점에 꽂으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뇌신경 활동을 측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메소드’ 10월 12일자에 실렸다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번식능력이나 질병저항성 등이 떨어지는 것이다. 이런 근교퇴화는 근친결혼이 많았던
여러
고대 왕조의 멸망 원인으로도 꼽힌다.최연호 박사는 “2007년쯤부터 이런 문제점이 인식되고 근친교배를 줄이는 방향으로 육종하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그러나 아직 모든 문제가 해결된 건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합성하기 위해서는 128개나 되는 아르테미시닌 입체 유사체가 필요하고, 이마저도
여러
화학적 후처리 단계를 거쳐야 한다. 개똥쑥이 없었다면, 과학자들이 처음부터 아르테미시닌을 합성하긴 어려웠을 것이다.이런 천연 화합물에 현대 과학을 접목할 경우 새로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