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뉴스
"
규모
"(으)로 총 8,394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일본대지진 10년] 공중에서, 바다에서…韓 방사능 감시 이렇게 이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KINS) 제공 일본 후쿠오카에서 북쪽으로 50km 떨어진 해저 10km에서 리히터
규모
8.0의 지진이 발생했다. 같은 시각 경북 경주시 월성 원전의 원자로가 지진 감지와 동시에 가동을 멈췄다. 그로부터 1시간 뒤 원전 주변 해안가로 쓰나미(지진해일)가 밀려와 원전 내부 전기 공급이 끊겼다. 다시 2시간 ... ...
[동일본대지진 10년] "일본 원전사고 뒤이은 과도한 공포, 냉정한 대응 어렵게 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감소하고 있다는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미카미 사토시 일본원자력연구원 연구원은 ‘대
규모
환경방사선 모니터링’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 후쿠시마 지역 2200곳의 샘플 1만1000개의 토양샘플을 분석한 결과를 설명했다. 미카미 연구원은 “예상보다 2~3배 빠르게 세슘이 사라지고 있다”며 “도심 ... ...
동해에
규모
6.6지진 발생하면 지진해일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수치 분석을 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대비한다”고 설명했다. 지진해일 경보는
규모
6 이상으로 한국 해안가에 높이 1m 이상 지진해일이 예측될 때 발령된다. 주의보는 0.5~1m 내 지진해일에 발령된다. 풍랑주의보가 3m인 점을 감안하면 낮아 보이지만 그렇지 않다는 설명이다. 일본에서는 ... ...
어린 연령층 감염률이 바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9 장기화에 따라 학생들의 교육 격차와 학업 성취도 문제 등을 감안해 가급적 등교
규모
를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7일 오전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서 "밀집도 기준에 따른 등교 기준을 조금 더 완화하고 학교의 방역을 철저히 한다는 전제 하에서 ... ...
[동일본대지진 10년]일본 후쿠오카 북쪽 50km 해저에서 8.0 지진 발생, 시뮬레이션 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구축됐고, 2018년 안전정지유지계통의 내진 성능은 0.3g로 보강했다. 0.3g는 리히터
규모
약 7.0을 견딜 수 있는 수준이다. 쓰나미에 대비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았던 고리원전의 해안방벽도 10m로 증축됐고, 수중보를 설치해 해일 발생 시 최저 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취수 능력도 보강했다. ... ...
"영국 변이 바이러스, 치사율 최대 두 배"
연합뉴스
l
2021.03.11
영국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약 5만5천명 중 227명이 사망했는데 다른 변이 바이러스는
규모
모집단에서 사망자가 141명이었다는 연구 결과를 실었다. 연구진은 영국 변이 바이러스의 치사율이 다른 변이에 비해 30∼100% 높다고 분석했다. [권도윤 제작] 일러스트 엑시터대가 배포한 ... ...
미 CDC "백신접종자 여행 완화 전 면역효과 지속기간 확인 먼저"
연합뉴스
l
2021.03.11
국장은 "백신을 맞은 사람들이 밖으로 나가 마스크를 벗고 공공장소에서 뭔가를 하고 대
규모
로 모여도 된다고 말하는 게 아니다"라며 "우리는 아직 백신을 맞지 않은 90%의 사람들을 계속 보호하도록 아기처럼 걸음마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 ...
[동일본대지진 10년] 후쿠시마 사고 발생부터 영구 폐로 결정까지 19일의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나오면서 3호기의 사용후핵연료 저장고 냉각 작업이 이뤄졌다. 3월 18일 도쿄전력은 대
규모
방사능 누출을 막기 위해 콘크리트로 원전을 덮는 방식이 유일한 해법일 수 있음을 처음으로 인정했다. 이 방식은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적용된 방식이기도 하다. 후쿠시마 원전에서 배출된 ... ...
[동일본대지진 10년]지금도 한반도 바다 32곳에선 그날 흔적을 쫓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제공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난 지 10년이 지났다. 리히터
규모
9.0의 대지진과 쓰나미로 1만8500여 명이 사망하고 40만 동 가까운 건물이 피해를 입은 대참사였다. 대지진은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폭발이라는 초유의 재앙으로도 이어졌다. 원전 사고의 파장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 ...
일 후쿠시마 원전 사고 10년 교훈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이어 미카미 사토시 일본원자력연구원 연구원의 주제발표가 이어진다. 그는 ‘대
규모
환경방사선 모니터링’을 주제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모니터링 방법, 초기 오염 상태 및 시간에 따른 후속 변화에 대해 보고한다. 호소다 마사히로 일본 히로사키대 교수는 ‘갑상선 선량 평가’를, 타이라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