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변화
여럿
여러
종류
변종
뉴스
"
다양
"(으)로 총 15,105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 드론에 '화들짝'...전문가들 "한반도 전역 들여다볼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1.13
센서, 배터리 기술의 발전 덕분이다. 김승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연구소장은 “
다양
한 목적과 수요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을 정도로 드론 관련 기술력이 크게 발전했다”며 “10km 내외의 중고도나 3~5km 저위도에 배치할 수 있는 드론은 굉장히 많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고도 10~50km 성층권을 ... ...
"설계도로만 존재하던 '혁신 원자로' 현실화하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됐다"며 "이들이 많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동기부여 방법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다양
한 원자로 연구개발을 위해 새로운 기술도 적극 도입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는 "세상을 바꾸는 기술들을 원자력에도 적용하겠다"며 "로봇을 이용해 원자로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3D 프린팅으로 사고저항성 ... ...
韓·中 연구팀. 30여년간 못했던 '오목한 탄소 소재'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탄소 소재는 원자 배열에 따라 연필심, 다이아몬드, 그래핀 등
다양
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새로운 탄소 구조의 발견이 학술적·산업적으로 가치가 높은 이유다. 탄소 소재는 노벨상과도 인연이 깊다. 1996년 노벨 화학상은 탄소 원자 60개가 공 구조를 이룬 '풀러렌' 개발 ... ...
목 아닌 겨드랑이 절제 '바바 로봇 갑상선절제술'…5세 환자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기능적 장점 모두 수술 이후 환아의 성장 과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앞으로도
다양
한 성공 사례를 축적하고 방법론을 공유해 소아 환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로봇수술의 이점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
이평구 지질연 원장 "우주자원·배터리 핵심광물 확보 기술 책임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저류층 복합 운영기술 개발 등의 과제를 수행 중이다. 이 원장은 “지질연은
다양
한 세부분야에서 연구역량을 입증했지만 그 중에서도 핵심광물은 가장 자신 있으면서도 우리 연구원에서도 수요가 높은 분야”라며 “핵심광물 부국과의 연구 협력을 통해 신 공급망을 구축도 적극 추진할 ... ...
실시간 뇌 혈류 측정기술 나왔다..."운동 중에도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실험 지원자가 책을 읽는 동안 뇌 혈류 변화를 측정하고 있다. 폴란드 과학아카데미 제공 뇌 혈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진단기 ... 뇌 질환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존 MRI 등에 비해 진단 장비의 크기가 작아
다양
한 의료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미생물인 수도모나스 푸티다(이하 푸티다)에 주목했다. 푸티다는 토양 박테리아로
다양
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놀라운 적응력을 보인다. 특히 1960년대 일본에서 발견된 균주인 푸티다 KT2440이 쓸모가 많다. C2를 바로 쓸 수 있게 전극 용액과 미생물 배양 용액을 통일하면서도 이산화탄소로 C2를 ... ...
‘뻔한’ 건강식단 4개 중 1개만 실천해도 조기 사망률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각 질환에 대한 조기 사망률 감소 효과는 인종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
다양
한 건강 식단이 일관적으로 조기 사망률 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고 말했다 ... ...
암세포와 싸우는 'NK세포' 작용 조절하는 새 면역관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NK세포의 활성 조절에 대한 이해와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에 대한 신개념을 제공하고
다양
한 형태의 융합기술 발전을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새롭게 발견된 면역관문 'NgR1'이 NK세포의 살상력을 억제하는 기전의 모식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 ...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발생을 조절하는 중요한 세포 간 상호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잘못된 노치 신호는
다양
한 질병, 특히 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또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APP)로부터 형성되는 아밀로이드 베타는 조직 내 축적돼 신경 손상을 초래하고 알츠하이머 발병에 관여한다. 흥미롭게도 노치 활성화와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