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6,019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이트데이엔 'SKY 초콜릿'으로
과학동아
l
2018.03.12
(사진 = 남윤중) 윤석민 롯데중앙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고려대 김세헌 교수와 공동으로
동물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쥐를 변비에 걸리게 한 뒤 2주간 요하이 초콜릿을 먹였다. 그러자 분변이 정상에 가까운 형태로 호전됐다. 장내 유익균인 비피더스균의 비율도 변비에 걸린 경우에 비해 1.8배 이상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강력한 신념에 가려질 뻔한 네안데르탈인의 진실
2018.03.11
알려진 켈트족보다 더 앞선 종족일 것이다’. 다시 말해서 홍적층에서 최후로 발견되는
동물
이 있던 시기에 살았다는 것이죠. 파격적인 주장이었습니다. 홍적세라는 이름은 홍수로 인해 쌓인 지층의 시기라는 뜻입니다. 노아의 홍수가 일어난 때라는 뜻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러니 노아와 비슷한 ... ...
목 잘린 백조 발견? 깜짝 대소동
팝뉴스
l
2018.03.10
본 사람들은 비명을 지를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목이 잘린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동물
보호단체의 직원이 급히 달려갔는데, 다행히 수의사의 도움은 전혀 필요 없는 상황이었다. 백조는 실제 백조가 아니라 백조 모양 상으로 목 부분이 부러졌던 것이다. 큰 긴장감과 걱정 그리고 분노를 품고 ... ...
[짬짜면 과학 교실] 공기로 짠 양탄자
2018.03.10
없이 이사 오는 소리 웅크린 낙엽에 떨어지는 싸락눈 소리 겨울잠 자는
동물
에게 더 자라는 소리 정월 대보름날 밤을 달리는 들불 소리 해묵은 풀들에게 작별 인사 하는 소리 공기로 짠 양탄자에 앉은 투명한 소리 눈 깜짝할 새 날아오는 신기한 (((소리))) ... ...
5억 년 전 고대생물 뇌 구조, 국내 연구진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09
공동 교신저자로 연구를 주도했다. 박 연구원은 “지구에서 가장 번성한
동물
군인 절지
동물
의 머리 형태 기원을 밝힌 것”이라며 “앞으로 생명체의 기원을 더 상세하게 밝힐 수 있도록 연구 범위를 점점 더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케리그마켈라의 두뇌가 보존된 화석(왼쪽)과 머리 신경 ... ...
의학 난제 해결할 '
동물
어벤저스' 뜰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09
교수는 “게놈의 비번역 영역을 해독함으로써 과거에는 관련이 없다고 생각했던
동물
과 인간 사이 관계를 밝혔다”며 “그 덕분에 지금껏 인간 게놈에서 숨겨져 왔던, 신체 특징을 결정하는 새로운 DNA 후보를 발굴했다”고 말했다. ... ...
거실 앞을 지나가는 맹수
팝뉴스
l
2018.03.07
앉아서 밖을 내다보고 있었다. 창문 밖에는 눈이 예쁘게 쌓여 있었다. 그런데 예상 못한
동물
이 스윽 지나간다. 맹수다. 퓨마는 아무렇지도 않게 창문 밖을 서성였다. 사진은 지난 3월초 미국 콜로라도 이글베일의 한 가정집에서 촬영된 것이다. 밥 쉐어론은 이 덩치 큰 맹수를 거실에서 만난 것에 ... ...
개를 잡아먹으려던 아나콘다의 최후
팝뉴스
l
2018.03.07
꼬리를 잡고 뜰어당겼다. 이 남자들이 급했던 이유가 있다. 아나콘다는 검은
동물
하나를 잡아먹으려 시도했다. 바로 개다. 자신의 개가 아나콘다에게 먹힐 위기에 놓이자 주인을 비롯한 사람들이 달려들었던 것이다. 아나콘다를 끄집어냈으나 이 뱀은 개를 놓아주지 않았다. 결국 긴 나무 ... ...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양이 처음 가축화된 게 사실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07
않은 시기로 밝혀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유럽과 중동지역에서 널리 쓰인
동물
인 양과 염소의 가축화 과정을 정확히 밝히면 과거 인간의 모습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야생 양과 염소가 모두 중동에서 약 1만 5000년 전에서 1만년 전 사이에 처음으로 길들여져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찰스 다윈은 정말 혼자서 위대한 업적을 이룬걸까?
2018.03.04
얼굴이 양각되어 있다. -wikiemedia(cc) 찰스 다윈은 이후에 나 과 같은 기념비적 저서를 계속 남깁니다. 월리스도 자연 선택에 대한 논문과 책을 더 써 나가지만, 다윈의 수준에 이르지는 못합니다. 둘은 서로 의견이 갈린 적도 있었습니다. 다윈은 ‘마음’도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