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d라이브러리
"
가장
"(으)로 총 12,918건 검색되었습니다.
허블 3D
과학동아
l
201106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의 안전성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됐다. 이 때문에
가장
큰 피해를 본 것은 아마도 허블우주망원경이 아닐까.허블망원경은 우주비행사들이 직접 우주로 날아가 수리하고 관측기기를 교체해야 한다. 컬럼비아 호의 사고로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이 중단되면서 ... ...
“공학의 꿈 키우며 정 나누는 공간”
과학동아
l
201106
돈독하게 지내고 있어요. 반 친구들과 함께 전교생 앞에서 공연을 펼쳤던 일이
가장
기억에 남아요.” 중학생 때부터 과학고 준비하는 학생 맞냐는 얘길 들을 정도로 운동을 비롯해 다양한 활동을 해왔다. 한성과학고에 들어와서 그 에너지를 본격적으로 발휘했다. 리더십을 갖고 다른 친구들을 ... ...
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
과학동아
l
201106
대부분의 학자들은 두 입자의 발견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본다. 하지만 인류가
가장
애타게 찾고 있던 두 입자의 발견이 점차 가시권에 들어오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우리는 정말 우주 궁극의 비밀을 품은 신의 입자와 어둠의 입자를 찾을 수 있을 것인가.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06
이 과정에서 나오는 전자나 뮤온은 찾기가 쉽기 때문에 힉스 입자를 발견하기가
가장
찾기 쉽다.하지만 힉스 입자가 질량이 115~140GeV/c2 정도로 가벼우면 찾기 어렵다. 힉스 입자는 대부분 보텀 쿼크 쌍으로 붕괴한다. 그런데 LHC에서 보텀 쿼크는 엄청나게 많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 중에서 힉스 ... ...
한 방에 빵! 터지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06
하지만 그는 사진전을 열거나 갤러리를 세우진 않는다. 그가 고속사진을 찍는 이유는
가장
유별난 것을 터뜨려보겠다는 열정이 있고 그의 홈페이지를 찾는 사람들에게 흥분을 주고 싶어서다. 한국에서 사진전을 열어볼 생각이 없냐는 기자의 말에 그는 자기 사진들이 실린 플리커의 주소(www.flickr.com/ ... ...
[hot science] 스마트폰으로 내 위치가 샌다
과학동아
l
201106
스마트폰의 지도 서비스에서 현재 위치를 확인해보자. 우선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가장
큰 원으로 위치를 대략 표시해 준 뒤, 몇 초 단위로 조금씩 그 원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GPS 신호를 받을 수 있는 공개된 곳에 있다면, GPS를 이용해 오차범위 5~10m의 상세한 위치정보를 ... ...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5
과학동아
l
201106
적용되는 7점식(5점식에 2점식이 더해짐) 등도 있다. 이중에서 3점식 안전띠가 착용하기
가장
편하다. 연결점이 많아질수록 착용하기는 어려워지지만 거의 못 움직일 만큼 승객을 고정시킬 수 있다.자동차가 시속 160km 이상으로 빠르게 부딪치면 오히려 안전띠 때문에 사람이 다칠 수 있다. 어깨띠에 ... ...
범죄 막는 도시 디자인, 셉테드
과학동아
l
201106
있지 않다.일본에서는 1990년대 초 ‘방범우량맨션 인증제도’가 시작됐다. 인증제도가
가장
활성화돼 있는 오사카의 경우 총 700여 공동주택 단지 중 400여 개 단지가 인증받았다. 인증을 받은 공동주택이 가치가 높아 분양에서 훨씬 유리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셉테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 ...
황금박쥐 아리랑5호
과학동아
l
201106
해상도는 같은 크기의 사진에서 물체를 얼마나 자세하게 표현하는지를 나타낸다.
가장
높은 1m 해상도(고해상도방식)는 5km 정도의 좁은 지역을 세밀하게 볼 수 있다. 3m 해상도(표준해상도방식)는 30km 지역을 볼 수 있어, 서울이나 대전 크기의 도시를 한 번에 훑어 볼 수 있다. 20m 해상도 ... ...
연료전지가 이끄는 흥미로운 여정
과학동아
l
201106
없는지 고민해야 합니다.”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는 것은 차 교수가 학생들에게
가장
강조하는 바다. 여행에 가서 골목 구석구석 돌아보고 많은 경험을 해야 기억에 남는 것처럼 연구도 전공을 뛰어 넘어 공부하라는 것. 이런 차 교수의 연구 철학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구에서 빛을 발했다. ... ...
이전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