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학"(으)로 총 4,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3. 평면나라에서 공간나라로과학동아 l200003
- 보는 결단이 필요했다는 것이다.나중에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가우스가 토지측령을 수학적으로 처리하면서 발전시킨 곡선과 곡면의 기하학인 미분기하학으로 편입된다.사람의 눈은 보통 원근을 구분할 줄 아는데 이는 사영기하적으로 사물을 보기 때문이다.레오나르도 다빈치의'최후의 만찬'이 ... ...
- 자연의 언어 수학과학동아 l200003
- 자연을 설명하는 수많은 과학적 이론은 수학과 함께 했다.갈릴레이가 '자연은 수학적 언어로 쓰여있다'고 말한 것을 입증한 셈이다.현대 사회에서 수학은 자신의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경제호라동을 비롯해 모든 생호라 전반에 수학이 이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과학동아 l200003
- 배우기 위한 도구가 아니라 바르게 생각하고 바르게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언어다.수학이 비록 실생활에 많은 도움을 주는 면이 많다하더라도,눈에 보이는 쓰임에만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옳지 않다.금전이 쓰임이 많아도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이다.사람의 몸과 마음이 둘이 ... ...
- 수학을 잘하는 방법과학동아 l200003
- 3.먼저 이해하고 나중에 외우자.4. '외우는 수학'에서 '생각하는 수학' 으로 전환하자.③수학문제의 해결과정문제이해→해결계획→계획실행→반성●문제이해"구하고자하는 것은 무엇인가?" "제공된 정보나 자료는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에 답해야한다.●해결계획식 세우기,그림 그리기,표 만들기 ... ...
-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과학동아 l200002
- 최근 들어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는 점에서 보기드문 사례다.수학교사들의 모임인 ‘수학사랑’에서는 칠교판을 이용해 피타고라스 정리와 무리수 개념, 그리고 그 계산법을 익힐 수 있는 놀이방법을 개발했다. 여기서 그 일부를 소개한다.문제1.아래에 주어진 개수만큼의 조각들을 이용하여 가능한 ... ...
- 축구공과 지오데식돔과학동아 l200002
- 어떤 모습으로 등장하는지 알아보자.우리는 삼차원 공간에 살고있기 때문에, 수학에서 다루는 입체도형을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그 중 매우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것이 정이십면체다. 정이십면체는 정다면체 중에서 면이 가장 많은 많은 것으로 정삼각형인 면이 20개, 꼭지점이 12개, 모서리가 30개 ... ...
- 지구는 얼마나 클까?과학동아 l200002
- 빛은 모두 직선처럼 보일 것이다.두번째와 세번째 가정은 기하학적인 가정으로 간단한 수학적 계산을 위해 도입됐다. 물론 지구가 완전한 원 모양이라는 것을 전제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가정이다. 이러한 가정아래 에라토스테네스는 실제 측정에 들어갔다. 먼저 같은 경도에 위치한 다른 장소를 ... ...
- 물질의 비밀을 찾아가는 길과학동아 l200001
- 12개의 오각형과 20개의 육각형이 모여서 만들어진다. 이런 구조는 18세기 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밝혀낸 정리에 따른 대칭성이 매우 높은 ‘절단된 이십면체’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런 구조를 실생활에 가장 먼저 활용한 사람이 바로 미국의 유명한 건축학자이며 철학자였던 ... ...
- 날카로운 불은 정사면체, 안정된 흙은 정육면체과학동아 l200001
- 사실은 2500년 전 고대 그리스 사람들도 이미 알고 있었다. 당시 기하학은 가장 잘 발달된 수학 분야로 완성된 모습을 갖춘 정다면체 이론은 기하학에서 최상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래서인지 많은 사람들은 이 멋진 정다면체 이론을 어딘가에 ‘써먹고’ 싶어 안달이 났던 것으로 보인다. ... ...
- 원은 왜 완전한 도형인가과학동아 l200001
- 원소들이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그런데 군의 개념은 산술 또는 대칭 변환이 아니라 대수학에서 방정식에 대한 연구로 19세기 초에 등장했다. 결정적인 발상은 갈루아(Evariste Galois, 1811-1832)의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는 5차방정식을 푸는 문제를 연구할 때 근 사이의 대칭성을 연구해서 군의 ... ...
이전3853863873883893903913923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