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사(死)백신’보다 효율이 좋아 지금도 많이 쓰이고 있다. 하지만 생백신에도 약점이 있다. 에볼라나 천연두처럼 치사율이 높은 바이러스를 다룰 때, 자칫 잘못해서 환자의 면역계가 백신을 이겨내지 못하면 끔찍한 사태를 불러올 수 있다. 효율도 높으면서 독성을 완전히 제거한 백신은 없을까. ... ...
- 전기모터로 3초만에 시속 100km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순간이 될 수도 있다.도심에서 펼치는 ‘맑고 조용한’ 경주이번 대회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대회 장소다. 기존 경주대회가 전용 서킷(경기장)에서 열리는 것과 달리, 포뮬러 E는 도심의 ‘시가지 서킷’에서 열린다. 특색 있는 세계 각 도시의 풍광을 배경으로 질주가 펼쳐진다. 그간 포뮬러 1은 ...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동물 중 마지막에 묘사돼 있다. 특이한 것은 지구를 벗어난 곳에 하늘이 묘사돼 있다는 점이다. 달, 수성, 금성, 태양, 화성 등의 순서로 하늘의 영역이 나뉘어 있다. 아래는 ‘네이처’에 실린 새 9993종의 유전적 관계도. ▲ ‘네이처’에 실린 새 9993종의 유전적 관계도. ▲ 생명의 나뭇잎은행잎 ...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학생과 전공 수가 너무 많아 연구와 교육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는 어렵다.이 점에서 지스트대학은 좀 더 자유롭다. 대학의 다음 교육과정으로 연구중심 대학원인 GIST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기초 학문과 사고력은 대학에서, 전공 공부와 연구는 대학원에서 맡은 것이다.GIST의 리버럴 ... ...
- [수학뉴스] 수학자 부자, 퍼즐로 새로운 서체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숨길 수 있다. 퍼즐을 풀 수 있는 사람만 무슨 글자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연속된 세 점마다 특정한 각도로 선을 고정시켜 만든 ‘링크 체’는 고정된 각도 안에서 선을 풀어 헤치면 어떤 글자인지 한눈에 알기 어려워진다. 에릭 드메인은 “사람들이 이 서체와 함께 재미있게 놀수 있으면 ... ...
- [시사]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자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물리학자들이 사용하는 방정식 중에는 미분이 불가능한 특이점을 해로 갖는 경우가 더러 있다. 이는 수학적으로는 모순이 되는 상황으로, 미분이 가능하다고 가정하고 문제를 푼 결과가 미분이 불가능함을 나타낸 것이다. 헤어러 교수는 자신이 만든 ‘정칙성 구조 ...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사이먼스에게 궁금한 점을 묻는 시간이 이어졌다. 수학을 배우면 실생활에서 어떤 점이 좋냐는 질문에 그는 “슈퍼마켓에서 주인에게 속지 않고 거스름돈을 받을 수 있다”며 재치있게 답하기도 했다.독자기자의 취재 수첩★ 자랑스러운 여성 필즈상 수상자!-윤서윤 독자기자매번 ICM에서의 필즈상 ...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이 사진은 과학자들에게 충돌 당시 어떤 일이 있었는지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이 밖에도 달 정찰 궤도 탐사선이 찍은 예술적인 달 사진들을 감상해 보자.LRO가 찍은 가장 예술적인 달 사진은? 달, 얼마나 알고 있을까?지구의 유일한 위성이자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 ...
- 산대와 x로 알아본 동서양의 방정식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살펴보았듯이 서양과 동양의 방정식은 당시 상황과 문화를 토대로 방정식을 바라본 관점도 모양도 조금씩 다르다. 그러나 오랜 시간 동안 방정식을 풀고자 했던 수학자들의 열정만은 동, 서양에 관계없이 같지 않았을까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적고,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수이므로 수의 크기를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컴퓨터는 사람과 비교해 계산 능력이 매우 뛰어나고 빠르다. 컴퓨터는 사람처럼 실수 할 줄 모르고 수의 크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컴퓨터에서는 다루는 수의 ... ...
이전3853863873883893903913923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