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새로운 걸 원한다면, 과학자를 내버려 두세요”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놓고 떠나다 보니 30년 동안 낸 논문은 불과 30편 가량이다. 논문을 많이 내는 연구자는 이
정도
기간에 최대 수백 편을 쓴다. 민 교수는 “논문 수가 적어도 우리 팀은 항상 새로운 연구를 하고, 양질의 논문을 낸다고 인정받는다”며 “‘우리 선생님’께서도 논문 하나를 내더라도 정말 새로운 것을 ... ...
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본모습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대략 가늠해볼 수 있다.▼북극부분 확대북극해면적이 약 1400km2다. 평소에는 두께가 50m
정도
되는 얼음으로 뒤덮여 있다. 평균 수심은 1300m이지만 북극점에 가까운 심해 평원에는 수심이 5000m가 넘는 곳도 있다.알파-멘델레예프 해령역시 활동성이 없는 해령이다. 과거 급격한 맨틀 상승으로 만들어진 ... ...
[수학뉴스] 200테라바이트짜리 수학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1024GB(기가바이트)이고, 1GB는 1024MB(메가바이트)입니다. 보통 음악 파일 한 곡의 크기가 5MB
정도
이니, 약 4000만 곡이나 되는 엄청난 용량이지요. 연구팀이 해결한 문제는 ‘불린 피타고리안 수 문제’입니다. 변수로 숫자 0 또는 1을 넣어 식의 값을 1로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 ...
[수학뉴스] 프랙탈을 알면 미래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주가지수를 분석하면, 지난 12개월 동안 20%
정도
오르내린 주가는 앞으로 3개월 동안은 10%
정도
오르내릴 거라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프랙탈을 닮은 현상 속에는 미래를 알려주는 힌트가 숨어 있답니다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놀리는 이야기를 듣고 또 충격을 받는다. 손에 들고 있던 책까지 ‘툭’하고 떨어뜨릴
정도
였다. 이때 한주연이 보고 있던 책은 ‘트랜스포머’. 만화 동아리 회장 한주연은 아이언맨과 트랜스포머에 빠져 기계공학과 컴퓨터공학을 지원했다. 한주연의 꿈은 교수가 돼서 아이언맨 슈트 연구비를 ... ...
[소프트웨어] 스트링아트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이용해 그래프를 나타냈어요. 실제로 바느질은 직선과 곡선의 개념, 곡선의 굽은
정도
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훌륭한 수학 도구였어요. 그래프뿐만 아니라 도형의 움직임이나 함수의 그래프 변화를 나타내는 미분을 설명하기도 쉬웠어요. 그래서인지 1970년대까지도 바느질을 이용한 수학 학습은 ... ...
[재미] 앵무조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천문학에서는 큰 수를 계산할 일이 많았다. 온종일 계산해도 결과를 낼 수 없을
정도
로 큰 수의 계산이 수두룩했다. 그래서 큰 수의 계산은 천문학자들의 골칫거리였다. 네이피어는 이런 큰 수도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냈고, 그 결과 로그를 발명하게 됐다. 로그를 이용하면 곱셈과 ... ...
[과학뉴스] ‘덕밍아웃’으로 본 포켓몬 고 열풍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포켓몬을 주제로 한 닌텐도 게임이 인기였다. 매 시리즈마다 20만 장 이상을 팔아치울
정도
로 흥행했지만 지금까지 모습을 드러낼 기회가 없었다. 그런데 숨어있던 덕후들의 마음에 포켓몬 고가 불을 질렀다. 그들이 과감하게 세상으로 나올 수 있었던 이유는 덕후에 대한 인식 변화 때문이다.덕후는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부품은 온라인에 표시된 크기와 실제 크기가 달랐다. 특히 조이스틱은 조작이 불가능할
정도
로 크기가 작았다. 새로운 부품을 주문할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궁여지책으로 3D프린트 전문가를 섭외해 직접 200개의 새로운 조이스틱을 만들어 문제를 해결했다. 하루 전날에는 중국에서 주문한 배터리가 ...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모른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
로 극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그래도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건 국경을 넘어선 과학자들 간의 협력 덕분이었다. 지난 5월 10~11일에는 ‘제22차 국제극지과학 심포지엄’이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에서 열렸다. 심포지엄에는 미국과 캐나다, 중국 등 1 ... ...
이전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