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뉴스
"
내부
"(으)로 총 4,329건 검색되었습니다.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발상에 깜짝 놀랐다. 아무튼 소 교수는 짧은 강연(5분 정도)에서 프리모관이 림프관
내부
중심축을 따라 나있는 사진을 보여줬고 경락은 피부 가까이에 있는 프리모관이라고 설명했다. 프리모관은 혈관과 림프관뿐 아니라 신경을 따라서도 분포한다고 한다. 소 교수는 프리모관을 ‘제3 ... ...
화학전지+태양광=하이브리드 전지
2015.08.03
전기를 20%가량 적게 쓰고도 같은 양의 전기를 충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태양전지
내부
에서 액체 순환을 일으켜 전자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전지를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 교수는 “현재 전지를 생산하는 기술에 적용하기 쉽다는 것이 장점”이라며 “충전할 때 태양에너지가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에타 같은 낯선 입자는 기묘도가 -1 또는 -2다. 펜타쿼크 모형. 중입자(커다란 공)
내부
에 쿼크(작은 공) 다섯 개가 들어 있고 각각은 글루온(흰색 선)으로 묶여있다. - CERN 제공 1961년 겔만이 이스라엘의 물리학자 유발 네만과 함께 제안한 팔중도(eightfold way)는 다양한 중입자와 중간자가 전하와 ... ...
ICT와 농촌의 만남… 스마트한 ‘創農’으로 거듭난다
동아일보
l
2015.07.24
누르면 비닐하우스 안에서 여물어가는 토마토도 화면으로 볼 수 있다. 더운 날엔
내부
온도도 바로 조절할 수 있다. 예전에는 비닐하우스를 오래 비우거나 서울에 친지를 보러 떠날 때도 불안했지만 이젠 그런 걱정도 덜었다. 마을 곳곳에 설치된 지능형 영상보안 장치 ‘마을지킴이’가 든든히 ... ...
삼성이 원하는, 이런 게 진짜 도전 연구 ‘셋’
2015.07.24
나타났다. 박 교수는 “빛을 모조리 흡수하는 표면을 만들고 빛에너지를 손실 없이
내부
로 전달할 수 있다면 태양전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양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은 “지금까지 노벨 과학상은 경쟁이 치열한 분야가 아니라 긴 안목을 가지고 새롭게 ... ...
‘꿈의 전자파’ 안전하게 사용하는 기준 밝혔다
2015.07.21
0THz(테라헤르츠, 1조 Hz) 수준인 전자기파로 가시광선이나 적외선보다 파장이 길어 물체의
내부
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빛을 쪼인 물질에 아무런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의료영상기술이나 공항 검색대 등에 활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나노 수준에서 ... ...
혈관과 뼈 동시에 3D프린터로 출력
2015.07.21
외부에 골고루 생성됐으며 뼈가 4주 동안 안정적으로 성장했다. 큰 조직을 만들 때
내부
에 혈관이 잘 생기지 않아 조직이 괴사하는 문제가 해결된 셈이다. 심 교수는 “향후 뼈를 비롯한 인체 장기를 3D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며 “3D프린터로 잇몸 뼈를 만드는 연구를 ... ...
국립서울과학관→국립어린이과학관으로
2015.07.21
전시관
내부
(상상도).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미래창조과학부는 2017년 4월 개관을 목표로 추진 중인 국립어린이과학관 건립사업의 전시물 설계 및 제작·설치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시공테크를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입찰에는 총 3개 업체가 참여했다. 15일 조달청에서 열린 제안서 ... ...
뜨거워진 스마트폰, 어떻게 식히나
2015.07.20
가해진 전압보다 더 큰 효과를 냈다. 가령, 외부에서 1V의 전압을 준다면 축전기
내부
에는 그 보다 큰 전압이 생겨 적은 전압으로도 소자를 구동할 수 있는 셈이다. 기존 반도체는 0.65~1V 수준에서 구동되는 데 반해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0.1~0.5V로 기존 전력의 6분의 1의 수준이면 구동됐다. 신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작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질소고정효소는 산소가 있으면 파괴되기 때문에 뿌리혹
내부
처럼 산소농도가 희박한 조건이 필요한데 미루나무나 소나무의 줄기나 잎처럼 공개된 환경에서는 질소고정이 제대로 일어나기가 어려워 보이기 때문이다. 미국 워싱턴대 섀런 도티 교수팀은 워싱턴주 ... ...
이전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