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59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식량 파수꾼 호박벌 실종, 이제 시작일 뿐
동아사이언스
l
2023.09.18
최소 30% 줄어들면서 멸종위기에 처하게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13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꿀벌보다 몸집이 크고 통통하며 털로 뒤덮여 있는 호박벌은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화분 매개자다. 전 세계 작물의 90% 이상이 벌과 나비 같은 화분매개곤충의 수분에 ... ...
위성 위협하는 '태양 활동' 7월 최고조…"예상보다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이른다는 국제기구의 예측보다 빨리 태양 활동이 최고조에 도달한 것이다. 17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따르면 태양 흑점 수는 7월 159개, 8월 115개를 기록했다. 타미사 스코프 미국 밀러스빌대 교수는 “우리는 잘못된 안일감에 빠졌다”며 태양 활동이 예상보다 일찍 정점에 이르렀다고 ... ...
인간 눈처럼 색 구분하는 '인공 망막'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김홍남 뇌융합기술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인공 시각회로 플랫폼을 개발하고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온라인 게재됐다고 17일 밝혔다. 불의의 사고 혹은 황반변성, 당뇨병 등 망막 질환으로 시각이 손상된 이들에게 인공 망막 기술은 세상을 다시 볼 수 있게 해 줄 희망이다. ... ...
KAIST 역대 최연소 교수 탄생…99년생 한수진 씨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한수진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KAIST 제공 KAIST에서 역대 최연소 교수가 탄생했다. 17일 KAIST에 따르면 1999년생 한수진 씨는 지난달 말 KAIST ...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한 교수는 19세에 과학기술 분야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학술
지에 제1저자로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리' 빨리 배우는 새가 문제해결력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비해 높으며, 똑똑한 새일수록 더 큰 뇌를 갖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14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발성 학습은 소리를 빠르게 배우거나 들리는 소리를 모방하는 능력을 말한다. 발성 학습 능력은 구어적인 표현 능력과 연관이 깊고, 이는 지능과 직결된다고 알려져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8년전 약속 '지속가능 발전' 성적은 '낙제점'
동아사이언스
l
2023.09.16
“2030년까지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를 달성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요?” 이번 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표지에 실린 문구다. 8년 전 국제사회가 약속한 프로젝트 ‘지속가능 발전 목표(SDGs)’의 중간점검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2015년 9월 유엔 회원국 193개국이 모여 2016~2030년 SDGs를 ... ...
태양의 심술 '코로나' 실체 규명에 한걸음 더 가까이
동아사이언스
l
2023.09.15
않다는 점이다. 발레리 나카리아코프 영국 워릭대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13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코로나 가열 메커니즘의 단서를 규명한 논문을 공개했다. ● 감쇠력 없는 꼬임진동 관측해 가열 실마리 발견 코로나는 태양 표면층보다 온도가 약 3배 높다. 코로나에 ... ...
[과기원NOW] KAIST, 신개념 그래픽 체험 '스노우 디스프레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9.14
뇌에서 발생한 신호를 높은 해상도로 빠르게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의 속표지 논문으로 게재될 예정이다 ... ...
깨끗하려고 쓰는데…청소제품서 건강 유해 물질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9.14
‘친환경’ 제품에서조차 이러한 물질이 검출됐다. 미국 환경워킹그룹(EWG)은 국제
학술
지 ‘케모스피어’에 12일(현지시간) 이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공개했다. 연구팀은 일상에서 사용하는 청소제품에서 수백 개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이 방출된다는 점을 발견했다. VOC는 끓는 점이 낮아 ... ...
뇌·행동·AI 분석기술로 ‘정서질환 치료’ 타깃 부위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9.14
한국뇌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뇌 기능과 행동 패턴, 인공지능(AI) 분석기술을 이용해 정서질환 치료를 위한 뇌 타깃 부위를 발견했다. 한 ...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
지 ‘국제임상심리저널’ 온라인 최신호에 게재됐다 ... ...
이전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