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본
본보기
모델
표본
자모
원형
틀거
d라이브러리
"
모형
"(으)로 총 1,071건 검색되었습니다.
100m를 단번에 오르는 에스컬레이터
수학동아
l
201102
엔지니어’에 꽈배기처럼 나선 모양으로 이동하는 에스컬레이터
모형
을 공개했다. 이
모형
은 비스듬히 움직이는 기존 에스컬레이터보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더 많은 사람을 이동시킬 수 있다.비스듬히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는 직각삼각형 모양이다. 빗변을 제외한 아랫부분은 어둡고 ... ...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수학동아
l
201102
입을 다물 수가 없었습니다. 천장이 온통 수학 모빌로 장식돼 있었거든요. 과학실의 해부
모형
이 절대 부럽지 않을 만큼의 수학 교구들이 선반을 가득 메우고 있어 다시 학생으로 돌아가고 싶을 정도였다니까요! 지곡초에서는 수학동아 2010년 12월호의 특집기사 ‘대칭으로 풀어본 분자나라의 ... ...
새들이 군무를 추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02
무리짓기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무리지능이 똑똑한 이유바이오드
모형
에서 무리를 이루는 개체의 행동은 단순하다. 각 개체는 상호 협력을 통해 복잡하지만 잘 조직화된 집단행동을 보여준다. 이렇게 각 개체가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 새로운 패턴을 만들어 내는 현상을 ... ...
2011학년도 과학고 입시, 이색 합격자 늘어
수학동아
l
201101
발표했다. 이듬해에는 학교 급식 배식대에서 학생들이 대기하는 행렬을 수학적
모형
으로 분석해 국제청소년학술대회에 발표하기도 했다. 사소한 것도 그냥 지나치지 않고 수학으로 생각해 보는 습관이 그의 연구에 큰 도움이 됐다.이예찬 군은 검정고시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한성과학고에 합격해 ... ...
인공 파도 속 해양강국의 꿈
과학동아
l
201101
시간을 PIV 장비와 뒤엉켜 지냈다. 지난해 9월에는 드디어 첫 번째 모델을 이용해
모형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그동안의 고생스러움이 눈 녹듯이 녹아내렸다. 아직 초보적인 수준의 실험 결과지만, 국내 최초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다. 지금은 두 번째 실험모델을 구상하고 있다. PIV ... ...
‘2010 노벨사이언스 국가안보체험전'
과학동아
l
201101
전차 ‘흑표’.➎ 스타워즈 등 SF 영화에서 볼 수 있는 레이저 총도 있다.➏ 훈련기 KT-1의
모형
을 조립해 볼 수 있는 자리도 마련해 놓았다.국내에서 개발한 휴대용 대공 유도무기 ‘신궁’을 발사하려고 아이들이 길게 줄을 섰다. 진짜 무기가 아니라 가상 현실 장치다. 화면에 적군의 전투기가 ... ...
통합적 사고로 명품 배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101
떠 있을 수 있는 구조를 연구하는 일이다. 연구팀은 가상파도를 만들 수 있는 예인수조에
모형
배를 띄워 두고 불철주야로 연구하고 있다.이 밖에도 요트의 돛 형태를 바람의 흐름에 맞춰 설계하는 ‘유체구조연성’ 등 선박공학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교수는 유체역학을 선박에 ... ...
과학동아 특집 ‘코리아노사우루스’ 정식 학명 됐다
과학동아
l
201012
공룡알화석지에서 ‘코리아노사우루스 보성엔시스’의 화석을 발굴했으며 최근 실물
모형
을 공개했다. 코리아노사우루스는 생물을 분류하는 기준 중 ‘속명’이다.“예전부터 한국을 알릴 수 있는 공룡을 발굴하고 싶었어요. 과학동아의 특집 제목이었던 ‘코리아노사우루스’란 이름을 계속 ... ...
과학창의재단 ‘생활과학교실’
과학동아
l
201012
여기저기에 형형색색의 종이가 보인다. 학생들이 가위로 오리고 접어서 만든
모형
헬리콥터다. 학생들은 책상 위에 올라 가 종이 헬리콥터의 프로펠러를 회전시킨 후 떨어뜨린다. 종이 헬리콥터는 공중에 잠시 떠 있다가 프로펠러가 멈추면 즉시 떨어진다. 헬리콥터가 공중에 떠 있는 시간을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11
별과 행성의 위치, 질량 등 여러 개의 변수를 조정해 중력렌즈 현상에 의한 밝기 변화
모형
을 만들고, 왜곡현상이 관측된 자료와 비교하면 외계행성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있다.이제까지 설명한 방법은 각각 특징이 있다. 별에 가까이 공전하는 행성은 분리해 관측하기 어렵다. 그래서 직접 촬영하는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