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d라이브러리
"
육지
"(으)로 총 723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l
200410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유럽인들은 이 지도첩을 통해 처음으로 한국이 섬나라가 아니라
육지
에 붙어 있는 반도라는 사실을 알았는지 모른다. 이후 과학이 발전하고 실제 측량이 강화된 18세기 들어 한국도 제 모습을 서양인 앞에 드러냈고 대표적인 사례가 당빌의 지도였다.그런데 앞에서 말한 ... ...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10
80대나 설치돼 있다. 풍차가 바다로 나가면 건설 비용이 커지지만 바람이 빨라
육지
보다 10-20% 더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공간도 넉넉해 많은 풍차를 건설할 수 있다. 한국은 서해와 남해가 후보 지역이다.그러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가 과연 석유를 대체할 수 있을까.한전이 풍력발전에서 나온 ... ...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09
압해도로 출발했다. 압해도는 우리나라 섬 가운데 갯벌이 가장 잘 발달한 곳이다.
육지
에 워낙 가깝고 크기도 커 섬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너무 무더워 갯벌을 둘러보기만 할 예정이었는데 마지막이라서 아쉬웠는지 교사들이 하나둘 갯벌로 들어간다. 지금까지 둘러본 곳 가운데 이곳 갯벌이 ... ...
챔피언의 힘은 어디서 오는가
과학동아
l
200409
한다지구에서는 지구의 자전, 복사 위도에 따라 대기환류가 달라진다바다와
육지
의 분포만을 고려한 대기환류는 1차환류라고 하며 대기환류 중에서 이동성 저기압이나 고기압의 규모에 해당되는 대기운동을 2차환류라 하고 이들 환류에 중합되는 소규모의 대기운동을 3차환류라고 한다 대기의 ... ...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09
현재의 38만km보다 훨씬 가까웠다. 그 결과 달의 조석력도 대단해서 밀물과 썰물로 바다와
육지
가 교차되는 거리가 수백km에 달했다. 한편 지구의 자전주기도 지금보다 훨씬 짧아 2-6시간 정도였고 표면 온도는 매우 높았다. 그 결과 밀물 때 빠져나가지 못하고 고여 있는 웅덩이의 물이 금방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08
긴 시간이 필요했을까.지구의 71%가 바다고, 이 중 60% 이상은 1천5백m가 넘는 심해다.
육지
에서 가장 높은 8천8백48m의 에베레스트산도 마리아나 해구에는 거뜬히 빠질 정도로 깊다.심해 정복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이런 깊이에 따른 수압 때문이다. 바다 속에서는 수심이 10m 증가할 때마다 1기압씩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07
울진 남동쪽 70km 해역에서 리히터 규모 2.0의 지진이, 이날 오후 9시 45분 울진 북서쪽 10km
육지
에서 규모 2.2의 지진이 발생했다. 6월 1일 오후 8시 22분에는 규모 3.5의 3번째 여진이 울진 동북쪽 55km 해역에서 발생했다. 2번째와 3번째 여진의 경우 울진 지역에서 진동이 감지됐다.미 지질조사국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07
데워진다. 따라서 북반구는 급작스런 기후변화의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 또한 빙하는
육지
에만 쌓인다.반면 남반구는 바닷물이 많기 때문에 열의 변화에 반응이 느리다. 바닷물은 쉽게 데워지거나 차가워지지 않고 열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이 크기 때문이다. 대기와 바닷물을 비교해보면 지구 ... ...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0406
활용을 꿈꾸고 있다. 현재 통신용으로 사용중인 울릉도와 강원도 호산을 잇는 울릉-
육지
해저케이블, 그리고 중국-한국 태안을 잇는CKC 국제해저케이블이 장차 학술목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울릉-
육지
해저케이블은 북쪽의 차가운 물이 남쪽에서 기원하는 따뜻한 물과 만나는 통로에 위치하고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06
강도에 따라 해조류가 고유한 색상을 띠게 된다. 빛이 많이 투과하는 얕은 바다에서는
육지
식물의 잎과 색이 비슷한 녹조류가 우점해 띠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대표적인 녹조류로는 파래와 갈파래, 잎파래가 있다. 수심이 깊어질수록 긴 파장의 빛이 제대로 투과하지 못하므로 좀더 아래쪽에는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