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정
해소
해법
해명
해답
정해
결말
d라이브러리
"
해결
"(으)로 총 5,04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
과학동아
l
201604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과일 표면에 닿아 부패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때 플라스마가
해결
책이 될 수 있다. 플라스마로 처리해 진공 포장하는 방법이다. 실험결과 딸기에 플라스마를 쪼인 뒤 헬륨 가스로 포장한 경우, 일반 진공 포장을 했을 때보다 곰팡이균의 번식이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603
구분할 수 없는 경우도 포함돼 있다. CCTV의 기록을 증거로 만드는 이들이 사건을
해결
하는 과정을 알아본다. 기사에 나오는 사진은 실제 사건과 무관한 가상상황이다.[ 사건이 발생하다 ]2013년 7월 14일(일) - 사건발생 1일 째형사 “따르릉.”평소였으면 출근도 하지 않았을 새벽 7시에 걸려온 ... ...
[Knowledge] 뼈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03
채취했다. 6․25 때의 미군 희생자 7900명 중 7000명의 시료가 모였다. 하지만 그래도 완전한
해결
은 아니었다. 미토콘드리아 DNA가 같은 사람이 많다는 점이 문제였다. 어떤 유전자의 경우 7000명 가운데 700명이 같은 유형을 지니고 있을 정도였다.2011년 10월, 진 박사가 프로젝트에 합류했다. 미토콘드리아 ... ...
[지식] 엄상일 교수
수학동아
l
201603
문제를 푸는 데 가장 효율적인 방향과
해결
방법을 찾아가지요. 학회기간 동안 문제를
해결
하고 논문을 내기도 한답니다.어렸을 때 장래희망이 수학자였나요?초등학생 때부터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빠져 있었기에 컴퓨터과학자가 되고 싶었어요. 그런데 프로그램을 잘 만들거나 오류를 잘 찾으려면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03
0년에 약 43초(1초는 각도 1°의 3600분의 1)씩 알 수 없는 이유로 움직였던 것이다.이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아인슈타인은 뉴턴이 중력 법칙을 만들면서 세운 전제에 의심을 품었다. 뉴턴은 물체를 둘러싼 공간과 시간은 물체의 존재와 관계없이 변하지 않는 절대적인 대상이라고 봤다. 반면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
과학동아
l
201603
그린다. 알파고는 훨씬 더 적은 경우의 수를 보면서 딥블루보다 훨씬 더 힘든 문제를
해결
하고 있는 것이다.한 그래픽카드의 발전 속도를 보면 언젠가 가능할 것이다. 그래픽카드(GPU)가 원래는 컴퓨터 게임이나 3D 그래픽에 한정적으로 사용됐는데, 최근에 나오는 ‘일반적인 그래픽카드(General GPU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
과학동아
l
201603
있고, 이게 다 뭐하자는 짓인지 우리는 영영 깨달을 수 없을 거라고 나는 말했다.유일한
해결
책은 지금 우리가 힘을 합쳐서 이 우주를 한 방에 폭발시켜서 끝내버리고, 그 힘으로 새로 다시 우주를 시작시키자는 것뿐이다. 그게 내 결론이었다. 우리가 잘 조절한다면, 새로 시작되는 우주는 빛의 ... ...
[동아리탐방] 특별한 경험을 선물받다! 인천당하중 ‘당찬’
수학동아
l
201603
다른 학생들에게도 수학동아리를 꼭 해보라고 권하고 싶다고 입을 모아 말했다. 문제를
해결
한 성취감을 또 느끼고 싶어서 빨리 연구 과제를 진행하고 싶다고 한다. 올해는 과연 어떤 연구 과제로 뿌듯한 한 해를 보낼까 ... ...
[과학뉴스] 답답하면 너도 큰 뇌를 가져보렴
과학동아
l
201603
생물 ․ 생명공학몸집에 비해 상대적으로 머리가 큰 동물일수록 문제
해결
능력이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와이오밍대 동물학및생 ... 몸집에 비해 뇌 크기가 큰 동물들이 많이 성공했다”며 “뇌 크기가 동물의 문제
해결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라고 말했다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03
최대 1% 작았던 것이다. 수정된 질량으로 천왕성과 해왕성의 궤도를 계산하니 모순이
해결
됐다. 이로써 미지의 행성 X는 천문학계에서 버린 패가 됐다. 한동안은.다시 고개 든 행성 X2003년 해왕성 너머에서 명왕성보다 조금 작은 왜행성 ‘세드나’가 발견됐다. 세드나는 발견 초기부터 천문학자들의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