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격"(으)로 총 1,45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태양과 달이 사라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달이 사라지는 우주쇼가 일주일 간격으로 일어났어요. 3월 27일에 개기일식이, 4월 4일에 개기월식이 일어났거든요. 개기일식은 지구, 달, 그리고 태양 순서로 한 줄로 놓이면서 달이 태양을 가린 경우에 일어나요. 지구에서는 마치 달이 점점 태양을 가렸다가 다시 비켜나는 모습으로 보인답니다 ...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직각으로 이어 붙이고, 빗변을 1×6 플레이트로 연결하자. 그 다음 각각 스터드 사이의 간격을 세어 보자. 세 변이 각각 3, 4, 5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밖에도 길이가 다른 브릭을 이용해 (5, 12, 13), (6, 8, 10), (8, 15, 17) 등 직각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만족한다는 사실을 ... ...
- 부모의 과대평가가 아이를 망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11세 사이의 네덜란드 어린이 565명과 그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했어요. 6개월 간격으로 4번씩 설문 조사를 하며 ‘우리 아이는 다른 아이들보다 뛰어나다’와 같은 질문을 통해 부모가 아이를 과대평가 하는지, 평소 애정표현을 어느 정도 하는지를 알아낸 것이지요.또 ‘난 다른 아이들보다 ... ...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코일을 만들어 화제가 됐다. 이 테슬라 코일은 높이가 10층짜리 건물만 하다. 약 80m 간격으로 두 대를 세웠다. 여기에 800만W나 되는 전류를 흘려보내니, 두 대 사이에서 200kV나 되는 정전기가 생겼다. 그리고 약 50m짜리 거대 인공번개가 나타났다.하지만 이렇게 만든 번개에도 한계가 있다. 실제와 ...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상대주의적이라는 것이었다. 시간과 공간이 합쳐져 시공간이 돼야 하므로, 길이나 시간 간격도 어떤 관성계에서 재는가에 따라 달라져 버린다.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에서는 시공간과 물질이 서로 직접 연관을 맺는다. 따라서 물질이 시간과 공간 속에 존재한다는 상식도 관찰자가 속한 ...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수 있을 만큼 작은 원형 단면적을 가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도체가 진공 중에서 1미터의 간격으로 유지될 때 두 도체 사이에 매 미터당 2×10-7 뉴턴(N)의 힘이 생기게 하는 일정한 전류’라고 돼 있다(국제도량형총회 1948년 기준).무슨 말인지 쉽게 이해가 안 된다. 전류를 왜 이렇게 복잡하게 정의해야 ...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7호
- 100보면 120m 정도가 됩니다. 실제로 성벽을 따라 걷다보면 구조물이 120보~140보(144m~168m)의 간격으로 배치돼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이를 화성 전체로 확대해, 성곽 위의 모든 공격시설을 중심으로 원 모양의 수비범위를 그려 봅시다. 정말 ‘물샐 틈 없다~’는 말이 이해되죠? 성을 둘러싸고 2중, 3중의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것과 같아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전파망원경의 수를 늘려 집광력을 높이거나, 최대한 간격을 넓혀서 분해능을 높인답니다.합성망원경의 원조 ALMAALMA(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는 칠레의 아타카마 사막에 늘어선 전파망원경 66대의 집합이에요. 2013년부터 가동을 시작했지요. 우주에서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21개의 염기서열 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는 정확히 알지 못했다. 단순 히 '주기적으로 간격을 띠고 분포하는 짧은 회문구조 반복서열(CRISPR, Clustered Regular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이라는 이름을 붙였을 뿐이다. 한 가지 중요한 점은 아무 의미가 없어 보이는 21개 서열 중에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유속이 더 빠른 지역에서 실험을 하기 위해서였다. 전 실장은 통화에서 "수심 20m까지 1m 간격으로 유속과 유향(물이 흐르는 방향)을 계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크랩스터는 5월 14일, 30일로 예정된 실험을 마치고 대전 연구소로 돌아갔다. 그러나 곧 또다시 바다로 돌아올 터였다. 우리나라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