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안"(으)로 총 1,248건 검색되었습니다.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수 있는 가장 파격적인 방법이다. 구소련의 정형외과 의사 가브릴 일리자로프가 1951년 고안한 ‘일리자로프 수술법’이 현재 널리 쓰인다. 수술에 대한 거부감이나 고통, 수술 후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다면 키를 ‘확실하게’ 키울 수 있다.수술 원리는 간단하다. 우선 종아리뼈를 자르고 틈새를 ...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것은 우주의 가장 큰 우연 아닐까. 급팽창 이론은 바로 이런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됐다. 우주는 균질한 초기에 급속도로 커졌기 때문에 현재 처음의 균일한 상태를 간직하더라도 논리적으로 모순이 없게 된 것이다.태초에 지문이 있었다.그런데 더 중요한 사실이 있었다. 전 우주에 걸쳐 균일한 ... ...
- 구구단 필요없는 최고의 곱셈 왕은 누구?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자~, 이상으로 제1회 곱셈 왕 선발대회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시상에 앞서 대회에 참여한 모든 참가자 분들,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독특한 곱셈법을 소개해 주셔서 ... 아나톨리 알렉세예비치 카라추바가 1960년에 발견한 것으로, 컴퓨터에서 계산을 빠르게 하기 위해 고안된 알고리즘이다 ... ...
- 무한 원숭이 정리 원숭이가 셰익스피어 희곡을 쓴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힘든 일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원숭이가 타자기를 친다고 가정했다. 그리고 자신이 고안한 ‘두 번째 보렐-칸텔리 보조정리’를 이용해 원숭이가 무한이 많은 시간 동안 무작위로 타자기를 치면 을 칠 가능성이 거의 확실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이것을 ‘무한 원숭이 정리’라고 정의했다 ...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최소제곱법은 현재까지 통계학에서 중요한 분석 방법 중 하나예요. 천문학 연구에서 고안됐지만, 두 학문 모두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답니다.유전학자가 발견한 회귀분석아빠와 엄마의 키의 평균이 170cm라면 자식의 키는 170cm를 넘을까요? 아니면 이보다 작을까요? 영국의 유전학자인 프랜시스 ... ...
- PART 2. 데카르트의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더 예민한 비틀림진자를 채용했다. 마침내 이중비틀림진자인 ‘외트뵈슈 진자’를 고안해서 실험한 끝에 1909년 관성질량과 중력질량은 10억분의 1의 한계로 동일하다고 발표했다.한편 아인슈타인은 1907년부터 중력이 없는 상태에서 가속도 g로 운동하는 경우와 중력가속도 g만큼의 중력을 받는 ... ...
- 숨은 보물단지를 찾아라! 빅 데이터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이런 예측자료는 독감의 출현을 조기에 발견하여 감염자 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는 데에 아주 유용해요.빅 데이터 시대, 텍스트 분석이 뜬다!이제 여러 자료에서 보물과도 같은 정보를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을 알았어요. 그렇다면 어떤 분식기법이 가장 인기가 있을까요?사실 통계 분석을 ... ...
- [체험] 모자부터 물병까지 뫼비우스 띠의 화려한 변신수학동아 l2013년 02호
- 구조이기 때문에 손잡이 모양처럼 되어 있다.클라인병은 독일의 수학자 펠릭스 클라인이 고안한 것으로, 뫼비우스 띠의 성질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한 차원 높은 공간에서 존재한다. 즉 뫼비우스 띠가 3차원의 도형을 2차원으로 나타낸 것이라면, 클라인병은 뫼비우스 띠의 성질을 가지는 4차원의 ... ...
- 빛을 쬐면 뇌세포 자극하는 삽입물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전기적으로 충전된 입자가 신경 조직의 멤브레인을 통과하는 현상을 확인한 뒤 삽입물을 고안했다. 삽입물은 안전성이 검증된 고분자 화합물로 만들어졌으며 폭이 0.1mm에 지나지 않는다. (빛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유전자 조작을 위한 물질을 주입할 수 있고 뇌 안에서 빛을 발산할 수 있으며 다양한 ... ...
- Let's MATH PARTY!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수 있는 최고 큰 값이고, 하한은 가장 작은 값이다. 상한을 구하는 공식은 여러 가지가 고안 돼 있는데, 여기서는 한 가지만 소개한다.대만의 수학자 팬청과 미국의 수학자 로널드 그램은 R(k, l)≤R(k-1, l)+R(k, l-1)이라는 공식을 1983년에 발표했다. 이 공식은 k와 l이 모두 2보다 크거나 같을 때 성립한다.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