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야옹이
나비
고냉이
괭이
나비야
늙은 암코양이
소녀
d라이브러리
"
고양이
"(으)로 총 764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역학이 무거워?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양자의 움직임(여기 저기에 동시에 존재한다거나, 죽었으면서 살아 있는 슈뢰딩거의
고양이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거나) 때문에 어렵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건 나중 문제다. 실제로는 도대체 다루는 대상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에 어렵다. 대표적인 연구자도 떠오르지 않는다.예를 들어 ... ...
슈뢰딩거
고양이
는 누가 죽였나?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백설공주는 나쁜 왕비가 건네준 사과를 한입 베어 물고는 쓰러져 버린다. 일곱 난장이들이 죽은 백설공주를 유리관에 눕히고 슬퍼하고 있을 ...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서 우리는 양자역학적으로 행동할 수 없는 것이다. 이제 슈뢰딩거
고양이
의 생사에 대해서 아는 척 할 수 있을 거라 믿는다 ... ...
하이에나의 ‘SNS’는 미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3호
사실은 사냥 하는 능력도 뛰어나다오.아무튼 개가 자신의 배설물로 영역 표시를 하듯
고양이
도 영역 표시를 한다고 들었수. 수염 옆에 있는 샘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나무 같은 물체에 묻혀서 ‘여기는 내 영역!’이라고 알린다고 하우.나도 마찬가지로 시큼한 냄새가 나는 덩어리를 풀 위에 남겨서 ... ...
루돌프 사슴 ‘눈’은 매우 깊은 파란 눈~♬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있는 작은 조직으로, 망막과 시신경 사이에 빛을 반사해 야간에 더 잘 볼 수 있게 한다.
고양이
같은 야행성 동물에 발달했다.반사판을 관찰한 결과, 겨울에는 반사판의 단백질 구조가 촘촘해졌다. 빛이 적은 겨울에 순록의 동공이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압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반사판이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주저하지 않고 유나 총제에게 자신의 힘을 내어주었다.그 결과 죽어 있던 은하 크기의
고양이
가 되살아 나는 현실이 도래했다.다시 말하거니와 나는 여행을 좋아했다. 그래서 투표가 완료되면 새 총제가 머물게 될 우주의 수도, ‘은색 천구’ 항성계를 방문하고는 현실을 조금 규정해두었다.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쌓인 것이다. 사람은 입술을 동그랗게 오므릴 수 있어 물을 빨아 먹을 수 있지만, 개나
고양이
만 해도 혀를 이용해 물을 떠먹어야 한다. 포유류는 턱의 끝부분에 있는 깊은 틈을 경계로 입술과 턱뼈가 완전히 분리돼 있다. 덕분에 안면 근육이 자리 잡을 수 있는 공간이 생겨 자유롭게 움직이는 게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발바닥에서 땀이 나요.
고양이
는 사람에게 매달리고 날카로운 소리를 낸답니다. 개나
고양이
모두 주의가 산만해지고 혼란스런 모습을 보이지요. 반려동물의 이상행동을 관찰해 치료하는 ‘동물행동의학’도 있답니다.잠깐! 들리지 않는 동물언어도 관찰한다박쥐나 돌고래의 언어는 초음파다. 이런 ... ...
“
고양이
따위 무섭지 않아!”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원인을 없앴는데도 쥐의 행동이 변하지 않았다. 기생충을 제거한 지 3주가 지나도 여전히
고양이
를 두려워하지 않았다. 잉그람 박사는 “기생충을 치료해도 관련된 질병이 여전히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 ...
너를 위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뭔지는 아시죠. 모를 수도 있겠군요. 뭐 예전에는 무당이나 점쟁이를 태우기도 했어요.
고양이
를 태우기도 했지요. 그냥 심리적인 문제예요. 마음 같아서는 아로마 향이나 하나 실으면 가볍고 좋겠는데 말입니다.아무튼 이 여자는 진짜 골칫거리입니다. 이번에는 식당에서 밥 잘 먹고 있던 제 선원을 ... ...
나는 뒷골목 낭만
고양이
입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위해 운동해왔다.도둑
고양이
대신 길
고양이
라는 단어를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했으며, 길
고양이
와 사람이 함께 공존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다.김 부회장은 TNR은 단순히 개체 수조절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광견병 예방 등 인간에게도 퍼질 수 있는 인수공통질병을 예방하는 데도 중요한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