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집사 길들이려면 집사 말 정도는 알아야옹~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개의 피부 근육을 늑대의 피부 근육과 비교한 연구결과를 2019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특히 개의 눈썹 근육이 발달한 점에 주목했습니다. 개는 안쪽 눈썹을 강하게 올릴 수 있는 근육이 있지만, 늑대는 없었습니다. 연구팀은 “눈썹을 올리는 동작은 ... ...
[수학뉴스] 수학 공부 중단하면 뇌 발달에 영향 준다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대안 교육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6월 15일자에 발표됐습니다. ... ...
[기획] 인공지능이 사투리를 배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그런데 점점 사라지고 있어 매우 안타까워요. 저는 사투리를 지키기 위해 그동안
국립
국어원과 꾸준히 사투리를 모았고 이번엔 솔트룩스와 함께 사투리를 모으고 있답니다. Q인공지능이 사투리를 배우는 이유는요? 지역과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나 인공지능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 ...
[특집]생물 주권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어흥~, 과일 하나 먹으면 안 잡아먹지! 호랑이 농부가 만든 다양한 과일들을 맛보렴. 딸기가 왜 태극기를 들고 있냐고? 우리나라 과일이 생물주권을 지키기 위해 독립운동을 하고 있어. 생물주권을 지키는 길, 함께 따라오라흥!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특집]생물주권을 지켜라!Part1. 딸 ... ...
[특집] 생물주권 때문이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모아 농사에 활용하는 등 토종 작물을 지키고자 노력하고 있답니다. ●인터뷰변혜우(
국립
생물자원관 연구관) Q 얼마나 다양한 생물자원을 찾았나요?우리나라에는 약 10만 종의 생물이 살고 있다고 추정돼요. 작년 12월 기준으로 국내 동물, 식물, 미생물을 모두 포함해 총 5만 4428종에 대한 정보를 ... ...
사람 발길 닿지 않는 곳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자연보호지역, 아마존의 알토리오네그로 원주민 영토, 칠레 남부의 카웨스카르
국립
공원 등이 이런 지역에 해당했다. 연구를 이끈 앤드루 플럼프트레 영국 케임브리지대 보존연구소 연구원은 “그래도 8~10% 정도는 온전히 남아있을 것이라 예상했는데 훨씬 낮은 수치”라며 “인간의 영향이 얼마나 ... ...
[한페이지 뉴스] 거시세계에서도 증명된 양자얽힘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큰 물체인 머리카락 너비의 5분의 1 크기 알루미늄 원형 조각에 벌어진 일이다.미국
국립
표준기술연구소와 콜로라도볼더대 공동연구팀은 두 개의 원형 알루미늄 조각 사이에 양자얽힘 현상이 나타남을 증명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5월 7일자에 발표했다. 양자얽힘은 두 물질이 물리적으로 ... ...
[한페이지 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정보엔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써서 일정 범위 내에 가두는 방법으로 속도가 빠른 정보엔진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5월 1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73/pnas.2023356118정보엔진은 150년 전 영국 물리학자 제임스 맥스웰의 도깨비 사고실험에서 출발한 개념이다. 방문을 사이에 두고 온도가 같은 두 개의 방 A와 ... ...
약자 피해 우려에 지구공학 실험 멈췄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부족하다. 기후모델이 아직 복잡한 기후과정을 표현하지 못한다는 점도 한계다.변영화
국립
기상과학원 미래기반연구부 팀장은 “한국의 K-ACE를 포함해 전 세계 약 15개 국가가 기후모델을 연구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기후를 모두 설명하지는 못한다”며 “전체적인 기후 변화는 일정 수준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높아 정확도가 떨어졌다.기술 개발을 주도한 논문의 제1저자 이아랑 미국
국립
보건원(NIH)
국립
인간유전체연구소(NHGRI) 연구원은 “이번에 조립한 16종의 유전체 가운데 가장 큰 것은 전체 길이가 50억 염기쌍에 이른다”며 “다양한 종들의 독특한 반복서열 구조와 서열 유사도를 다룰 수 있는 자동화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