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작업
사역
취업
과업
직업
야간근무
d라이브러리
"
근무
"(으)로 총 93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과학자, 난치성 ‘전립선암’ 치료 가능성 열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결국 암이 재발한다.그런데 얼마 전 캐나다 벤쿠버 브리시티컬럼비아주 암연구센터에
근무
하는 명재경 박사(사진)와 그가 속한 연구팀은 호르몬 요법의 단점을 개선해 난치성 전립샘암을 치료하는 새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호르몬 불응성 전립샘암에 대한 연구는 많이 나왔지만 호르몬과 결합하는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두 사람은 질병유전자 공동 프로젝트를 하면서 알게 됐다. 미국 생명공학회사 시쿼놈에
근무
하다 지난 3월 테라젠에 합류한 이 부장은 “회사에서 PGP 9번을 분석하고 있어서 혹시나 했는데 길 박사여서 놀랐다”며 “이번에 그를 5년 만에 만나는데 ‘깜짝 선물’을 준비했다고 말했다”고 배경을 ...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대부분 생명정보학이나 컴퓨터과학을 전공했다”며 “인도 지사에는 6명의 직원이
근무
하며 매일 수백 편씩 쏟아지는 게놈 관련 논문에서 최신 정보들을 뽑아 업데이트한다”고 덧붙였다. 개인게놈을 ‘구매’한 고객들은 이런 정보를 어떻게 활용할까. “화면을 보시죠.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변동 등이 심신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쌓이고 있다. 교대
근무
자들이 만성피로를 호소하고 우울증, 불면증에 시달린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2007년 프랑스 리옹에서 열린 세계보건기구(WHO) 주최 암연구국제회의에서 참석자들은 다양한 연구 자료를 검토한 결과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난제를 돌파하는 놀라운 성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한다. 7년 정도 이 연구소에서
근무
한 김진철 박사는 “연구소는 실적보다 잠재력을 보고 연구원을 뽑으며 7년간 중간에 별도의 심사 없이 과감하게 지원한다”며 “볼펜 한 자루 지급부터 실험동물 관리, 논문 데이터 정리까지 도와주며 연구원을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유수의 연구소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사이에, 휴즈 사에 소속된 작은 기술 연구소에서
근무
하던 시어도어 메이먼도 레이저를 개발하기 위한 실험에 속도를 내고 있었다. 그는 벨연구소에서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루비를 매질로 사용했다. 루비 결정의 성분인 산화알루미늄에는 원자의 일부가 ... ...
신체화장애,몸과 마음의 관계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앞에 몸을 덜덜 떨 때가 한두 번이 아니었다. 수련의 과정을 끝내고 다른 병원에
근무
할 때도 어쩌다 그분 전화를 받으면 온몸이 긴장되고 전화기를 잡은 손이 떨리곤 했다.머리로는 그럴 필요가 없다는 걸 잘 알고 있었다. ‘나도 전문의인데 아직도 뭘 두려워하는 건가’ 싶기도 했다. 하지만 몸이 ... ...
어려울 때 힘이 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분석해 2010년 최고의 직업으로 보험계리사를 꼽았어. 1위로 꼽힌 이유는 평균연봉도 높고
근무
환경도 쾌적하고 육체 노동과 스트레스가 많지 않고 고용 전망도 밝다는 이유였어. 보험계리사라는 직업! 많이 생소한데 어떤 일을 하는 걸까? 국내 최초 여성 보험계리사인 조의주 전무님을 만나 ... ...
인간이 감당할 수 있는 친구 수는 150명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수도 있다. 하지만 원숭이의 행동패턴을 근거로 인간의 한계치를 예상해 하루에 7시간
근무
하고 일주일에 3일을 쉬게 했다면 ‘우리는 원숭이가 아니다’라는 이야기가 나오지는 않았을 것이다.혹자는 대체 150이란 숫자가 왜 그렇게 중요하냐고 묻는다. 진화적으로 인간은 원숭이보다 더 큰 규모의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허블우주망원경이 발사될 무렵 그는 캐나다 빅토리아대 물리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
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발사되기 두 달 전에 허블 펠로우십이 생겼고 이 교수는 1기 허블펠로우로 선발됐다. 단 조건이 붙었다. 성공적으로 발사된다는 전제 하에서다. 발사성공 여부에 따라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