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d라이브러리
"
나무
"(으)로 총 3,425건 검색되었습니다.
더 작게 더 빽빽하게│ ‘초고집적 반도체’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이 말은 즉 더 적은 수의 빛 알갱이로 감광제를 깎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가령 조각칼로
나무
판을 강하게 2번 깎으면, 약하게 30번 깎는 것보다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된다. 이와 같이 EUV로 깎은 감광제 표면은 울퉁불퉁해지기도 더 쉽다. 심할 경우 불량품으로 처리된다. EUV를 만드는 데 비용이 많이 ... ...
[만화 뉴스] 버섯으로 썩힌
나무
에서 전기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내부를 버섯으로 썩혀 압축이 더 많이 될 수 있게 했어요. 버거트 교수는 “썩히지 않은
나무
보다 55배 많은 전류가 흐른다”며 “바닥에 설치해 발 전소처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4.238여름 강우량의 감소는 하천 주변 식생을 변화시키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버드
나무
등 국내 하천 주변에 서식하는 식생은 봄에서 초여름 사이에 발아한다. 이들 식생은 하천 주변 공간 중 강물보다 어느 정도 높은 지역에서만 발아할 수 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하천 주변에서 이들 ... ...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는 바닥으로 내려와 곧 흙 속에 파묻혔다. 이후 땅속에서 살며
나무
뿌리에서 나오는 수액을 먹으며 자랐다. 그렇게 17년을 버틴 매미들이 올해 여름 한꺼번에 땅 위로 올라와 모습을 드러냈다.이 가운데 성충으로 탈피한 수컷 매미들은 암컷 매미와 짝짓기를 위해 울부짖는다. ... ...
[헷갈린 과학] 부는 방식에 따라 다르다! 금관악기VS목관악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플루트는 왜 목관악기일까?예전에는 관악기를 재질에 따라 분류했습니다. 당시 플루트는
나무
로 만들어서 목관악기로 구분되었지요.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관악기는 음을 만드는 방식으로 구분되기 시작했습니다. 금관악기는 입술의 떨림으로, 목관악기는 악기에 뚫린 구멍을 여닫는 방식으로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 중력에 도전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이 다리에 물건을 올리면 각
나무
막대에서 구조 전체로 무게가 분산돼요. 그래서
나무
막대 하나로는 버틸 수 없는 무게를 이 다리는 버틸 수 있답니다 ... ...
[특집] 생물주권 때문이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사용된 점을 인정받아 미국의 특허가 인정되지 않은 적도 있죠. 반대로 우리나라는 구상
나무
나 청양고추와 같은 생물자원을 지키지 못한 역사가 있어요. 그래서 정부기관이나 민간에서는 생물주권을 지키고자 토종 종자를 모으거나, 아직 발견되지 않은 우리나라 생물종을 찾고 있어요. ... ...
[SF소설] 랄로랑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나무
가 내뿜는 노폐물을 먹으며 산다. 엘라는 그리 똑똑하지 않아 늪이나 강에 빠지거나
나무
에 뿔이 끼어서 위기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마다 엘라의 시체를 처리하며 함께 지내는 무트라는 육식새 수십 마리가 달라붙어 엘라를 구조한다. 그 과정에서 무트가 엘라에게 깔려 죽는 경우도 ... ...
[특집]새로운 과일, 어떻게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창조한 사과는 28품종! 씨앗을 심고 15년이란 기나긴 시간을 기다려야 육종한 사과
나무
에서 사과가 열려요. 사과박사님의 이야기를 들어 볼까요? Q 사과에 새로운 이름을 붙이는 법칙이 있나요?과거에는 주로 홍로, 감홍 등 한문을 기반으로 품종 이름을 붙였어요.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 사과를 전 ... ...
[그래프뉴스] 풀과
나무
가 많은 도시에 사는 사람이 더 행복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풀과
나무
가 우거진 공원이나 숲이 많은 도시에 사는 사람이 더 행복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어요.차미영 기초과학연구원(IBS) 책임 연구자와 정우성 포스텍 교수가 공동으로 이끄는 연구팀은 유럽우주국의 위성 사진을 이용해 핀란드, 캐나다, 이란 등 세계 60개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의 녹지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