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이"(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갑자기 찾아온 추위가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우선 구름이 무엇으로 돼 있는지 살펴볼게요. 지상에서 증발한 수증기는 대기 중에서 높이가 높아질수록 온도가 점점 떨어져요. 그러다가 어느 순간 아주 작은 과냉각물방울*이나 얼음 조각(빙정)으로 변하지요. 이 크기는 1μm(마이크로미터, 10-6m)로, 머리카락 굵기보다도 작답니다. 수증기가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y=ax+b에서는 x에 0을 대입하고 남은 b가 y절편입니다. y절편의 크기에 따라 그래프의 높이가 달라집니다. b가 크면 클수록 그래프는 위쪽으로 올라가고 작으면 작을수록 그래프는 아래쪽으로 내려갑니다. 3. 합성함수 인공신경망은 여러 개의 함수가 합쳐져 있습니다. 이때 둘 이상의 함수를 합친 ...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관찰할 수 있어요. 이런 위성을 정지궤도위성이라고 부른답니다. 오늘은 인공위성의 높이와 속도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한 번 발사한 인공위성은 수명이 다해도 다시 수거할 수 없어 우주 쓰레기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답니다! 우주 쓰레기를 청소하는 우주선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46쪽 매스미디어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지구 반지름(약 6400km)의 단 0.2%에 불과하다는 점입니다. 날씨가 나타나는 대류권의 높이가 약 10km이고, 해저의 깊이가 약 5km라고 어림잡으면요. 지구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생명체는 물이 존재하는 지표면과 대기가 지탱하고 있는 셈입니다. 물과 대기는 생명체가 신진대사를 유지하게 해주고,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그래서 고양이가 그 안에서 앉으니 상자가 살짝 우그러질 정도였다. 그리고 상자의 높이도 그다지 높지 않았다. 앉은 고양이의 목 위가 가려지지 않았다.그리고 그 모습을 칼리토포스가 봤다. 칼리토포스가 보기에도 그 상자는 좌우로 비좁아서 몸에 끼이고 아래 위로는 몸을 제대로 가리지 못해 목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두 대 있다. 헬리콥터는 연구에 굉장히 유용하다. 해빙의 지형과 수면 위에 드러난 높이를 관측할 수 있는 항공 레이저 스캐너, 해빙의 표면 온도 분포와 균열 형성을 관찰하는 적외선 카메라가 실려 있어서, 낮에는 전자기유도 및 초분광 카메라로 해빙의 전체 두께도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어떤 면을 밑면으로 두는가에 따라 ‘각뿔의 꼭짓점’이 달라져요. 입체도형에서 밑면은 높이를 재는 방향과 수직인 면을 말해요. 삼각뿔은 어떻게 놓느냐에 따라 네 면 모두 밑면이 될 수 있어요. 따라서 삼각뿔의 네 꼭짓점 모두가 ‘각뿔의 꼭짓점’이 될 수 있어요. 하지만 사각뿔, 오각뿔,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소음 측정 방식을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머신에서 고무공인 임팩트볼로 바꾸기로 결정했어요. 뱅 머신은 7.3kg의 타이어를 0.85m 높이에서 떨어뜨리는 방식이에요. 일본에서 많이 쓰는 다다미 바닥의 특성을 고려해 큰 충격력(약 4500N*)을 내도록 설계됐지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바닥 구조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어 충격력이 너무 크고 ... ...
- [과학동아x긱블] 되네르 케밥 기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야외라는 말은 바닥이 평평하지 않을 확률이 높다는 뜻입니다. 자전거와 케밥 기계의 높이가 다른 상태에서 일직선 봉으로 연결했다가는 고속 회전하던 봉이 뒤틀려 이탈해버릴 수도 있습니다. 또 자전거와 케밥 기계의 사이 간격도 주변 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합니다.배려심 깊은 ... ...
- [수학뉴스] 화산폭발 규모, 우산 모양 화산재 구름으로 추정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분출된 쇄설물은 질량이 2.5×1011kg이나 됐고, 우산 구름의 반지름은 10km, 구름 기둥의 높이는 25km인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이는 이전에 과학자들이 추정한 쇄설물의 질량(1.5~5×1011kg), 우산 구름의 반지름(10~14km), 구름 기둥의 높이(20~30km)와도 유사했습니다.콘스탄틴스쿠 연구원은 “이 수치 모형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