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량
브리지
육교
leg
브릿지
넓적다리
대퇴
d라이브러리
"
다리
"(으)로 총 2,706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크래프트]#2. 태국의 수상가옥에서 한붓그리기가 떠오른다!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들르는 도형을 그릴 수 있느냐 하는 문제예요.오일러는 고심한 끝에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문제는 불가능하다’라는 결론을 내립니다. 그리고 이 문제를 푼 것에서 더 나아가 한붓그리기가 가능한 조건을 밝히고 증명하죠. 그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래프 이론의 시초가 되다!오일러의 ... ...
과학동아천문대장이 보여주는 '이달의 천체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대표 별자리인 오리온자리가 저녁 동쪽 하늘에서 높이 떠올라요. 어깨와 허리 그리고
다리
를 이루고 있는 2개의 일등성과 5개의 이등성이 조화로운 모습으로 보이죠. 그중 허리에 나란히 있는 별 세 개를 삼태성이라고 합니다. 삼태성 왼쪽 주변에는 생긴 모습이 말머리 닮았다고 해서 ‘말머리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접착제 없이 물건을 착! 붙이는 방법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자랐답니다. 이 모자가 얼른 상용화 됐으면 좋겠네요! 우리가 걸을 땐 마찰이 발생해요.
다리
를 움직일 때는 가랑이 사이에서, 팔을 흔들 때엔 겨드랑이에서 끊임없이 마찰이 일어나죠. 만약 이 마찰을 전기로 바꿀 수 있다면 걸을 때마다 전기를 모을 수 있지 않을까요? 이 아이디어는 2012년, ... ...
[수학뉴스]거미의 사냥 실력, 비결은 수학!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거미가 거미줄 위 어디에 있든지 이 진동 패턴을 이용해 8개의
다리
로 먹이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방사형 거미줄 외에 다양한 모양의 거미줄을 대상으로 연구를 계속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
소프트웨어와 촉감으로 정교해진다! 휴머노이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미국 로봇회사 보스턴다이나믹스는 휴머노이드 아틀라스가 피겨 선수처럼 뛰어올라 두
다리
를 찢는 영상을 공개했어요. 아틀라스는 이전에도 넘어질 뻔하다 금세 자세를 잡아 화제가 됐지요. 이처럼 힘 있게 움직이면서도 넘어지지 않는 2족 보행로봇은 처음이었죠. 박종우 교수는 “하드웨어도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데 관여하는 유전자인데, 2번 염색체에 들어있습니다. 이 유전자를 없앴더니 제 동생의 팔
다리
힘이 엄청 세졌답니다.지난번에는 눈코입과 손가락, 발가락 등 신체검사도 했습니다. 혈액을 뽑아서 혈압과 당뇨 여부도 확인했고요. 장기에 이상이 없는지도 체크했습니다. 아직까지는 순조롭게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소행성의 한 동굴에 숨는 부분이다. 동굴 속에 착륙한 뒤 적이 사라질 때까지 기
다리
며 하이퍼스페이스 드라이브를 수리한다. 그때 커다란 박쥐 같은 동물이 날아와 유리에 부딪힌다. 깜짝 놀란 일행이 조사하기 위해 우주선 밖으로 나온다. 희한하게도 지진이라도 난 것처럼 땅이 흔들린다. 혹시나 ... ...
[이달의 책]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외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입기 시작한 게 언제부터인지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는다. 다만, 그 후 십여 년 동안은
다리
가 두꺼운 사람에게는 꽤나 고역인 시대였다.그런데 몇 년 전부터는 이들의 한이라도 풀어주듯 펑퍼짐한 하이웨이스트진과 부츠컷 청바지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그럴듯한 패션 용어 같지만 쉽게 말해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직육면체에 바퀴 하나가 달린 것처럼 단순한 모양이면 더 신비롭게 보일 것 같아요. 팔
다리
없이도 상자 안에서 모든 일을 해결해서 결과물만 내는 로봇이 개발되면 재밌을 것 같아요. 김희수: 저는 머리에 연결하기만 하면 머릿속 생각을 홀로그램으로 보여주는 로봇이 등장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거슬러 올라간다. 오일러는 러시아 쾨니히스베르크 지역의 섬과 강변 사이에 놓인 7개의
다리
의 연결 관계를 점과 그래프로 바꿔 각 점을 한 번씩만 지나면서 원래의 출발점으로 돌아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밝혔다. 이후 많은 수학자가 오일러의 연구를 발전시켜서 대상들 사이의 관계를 점과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