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
편
당나라
패
동아리
사회
팀
d라이브러리
"
당
"(으)로 총 1,090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연계수업] 도시에는 왜 고양이가 많을까? 도시생태계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살고 있는 길고양이 수는 약 25만 마리래. 서울시 인구가 약 1000만 명이니, 4인 가족 하나
당
고양이 1마리가 살고 있는 셈이지. 수가 늘어난 탓에 아무래도 사람들과의 마찰이 생길 수밖에 없어. 길고양이는 먹을 것을 찾아 쓰레기 봉투를 뜯어 위생 문제를 일으키거나, 발정기에 밤마다 소리를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시작됐다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BRIDGE. “
당
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 ...
[과학뉴스]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단맛의 천적인 쓴맛을 억제해 단맛을 더 달게 해주는 것이다. 잊지 말아야할 것은 ‘적
당
한’ 양의 짠맛이다. 지나치게 많은 소금은 오히려 혀에 있는 쓴맛 수용체를 활성화해 이번엔 쓴맛을 더 쓰게 하고 단맛을 떨어뜨린다. 허니버터칩은 짠맛의 황금비를 찾아낸 데 두 번째 성공 비결이 있다 ... ...
점심 먹고 돌아서면 저녁 준비해야 하는 내온동물의 삶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심하거든요. 높은 체온을 유지하려면 엔진에 연료를 자주 많이 공급해야 해요. 즉,
당
과 지방을 끊임없이 제공해야 미토콘드리아가 열을 발산할 수 있답니다. 페럿이나 햄스터가 먹이를 자주 먹어야 하는 이유는 내온동물이기 때문이에요. 내온동물은 외온동물보다 세포 안에 미토콘드리아(사진 ... ...
찰흙으로 전기를 저장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찰흙처럼 모양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지요.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이 찰흙 전지가 1㎤
당
900패럿의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고, 충전과 방전을 1만 번 거친 후에도 저장 용량이 거의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어요. 연구팀의 마리아 루카스카야 박사는 “이 정도의 능력이라면 휴대전화나 자동차 ... ...
[knowledge] 휘청~한 이순신대교 과연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이뤄지고 있다. 결과는 올해 안에 나올 예정이다. 이순신대교나 서해대교가 지금
당
장 무너진다고 말하는 건 억지에 가깝다. 다만 바다 위 다리는 생각보다 다양한 위험에 노출돼 있다. 꾸준한 안전관리와 엄격한 사고예방이 필요한 이유다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1700여 개에서 희소 광물을 캐낼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구에서 1온스(약 30g)
당
1500달러인 백금으로 가득한 500m급 소행성이 있다면 그 가치는 2.9조 달러, 우리 돈으로 2900조 원에 이른다.아예 소행성에 공장을 세울 수도 있다.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연구원은 “NASA는 ... ...
[과학뉴스] 독 제거하는 담뱃재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담뱃재에 입혀지면서, 보다 단단하고 안정적인 흡착제가 됐다. 실험결과 물 1L
당
200μg이 넘던 비소 농도가 8μg 수준으로 떨어졌다. 세계보건기구(WHO) 수질기준을 만족시키는 수치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저개발국가가 안전한 물을 마시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손으로 요판을 깎지 않는다. 지폐 3배 크기의 종이에 스케치를 한 뒤, 컴퓨터로 입력한다.
당
연히 위·변조 방지 방법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다. 디자인 영역에서 벗어나 IT기술까지 섭렵하면서 더 다양하고 쓰기 편리한 방법을 개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출중한 디자이너에서 이제 보안솔루션을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일정량 수입했다. 작년 한 해만 쌀을 50만t 이상 수입했다. 국내 쌀 생산량의 10%에 해
당
한다. 최근 정부는 쌀 시장 완전개방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과연 고율의 관세로 언제까지 우리 쌀을 지켜낼 수 있을지 미지수다.값싼 외국 쌀의 공세에 맞서 한반도의 쌀도 바뀌고 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