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전시
대전광역시
집대성
전집
충전
회전
큰싸움
d라이브러리
"
대전
"(으)로 총 1,900건 검색되었습니다.
[핫이슈] 나는야 바둑왕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쌓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바둑을 통해 집중력이 쑥쑥!바둑은 기본 규칙을 제대로 알고,
대전
을 통해 실력을 쌓으면 누구나 재미있게 둘 수 있어요. 하지만 게임을 하는 동안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펼쳐지기 때문에 이기려면 고도의 전략이 필요해요. 바둑을 두는 동안 상대방의 의도를 예측하고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뒤집어쓴 컨테이너 내부는작업 중인 채석장을 연상시켰다. 11월 2일 오후 1시, 기자는
대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하 지질연)에서 열린 ‘백두산 샘플파티’에 참석했다. 국내 연구진 14명이 7월 30일부터 8월 12일까지 세 번에 걸쳐 백두산에서 채취한 암석 샘플 약 300kg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 ...
[수학뉴스] 앨런 튜링이 남긴 노래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의 암호를 풀어낸 영국의 천재 수학자 앨런 튜링이 컴퓨터로 음악을 녹음하자고 한 최초의 인물이라는 사실을 아시나요?뉴질랜드 캔터베리대 연구팀은 앨런 튜링의 아이디어로 녹음한 최초의 컴퓨터 음악을 복원했다고 9월 26일 밝혔습니다. 이 음악은 소리가 훼손된 채로 1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알려진 알고리듬인 ‘점진적 단계법’의 기본이 됐다.라마누잔-하디 수, 1729제1차세계
대전
종전 즈음에 라마누잔은 콜리네트 하우스라는 요양원에 입원해 있었다. 한번은 런던에서 하디가 택시를 타고 라마누잔의 문병을 오는데, 택시 번호가 1729였다. 하디가 라마누잔의 침실에 들어서 불만스레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신원 확인에 활용할 수 있다는 건 굉장히 큰 장점이다. 실제 전사한 지 오래된 제2차 세계
대전
이나 한국 전쟁 전사자의 경우 부모나 형제가 이미 사망하고 사촌이나 5촌의 DNA 시료만 구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 신원을 확인하는 데 Y-DNA의 공이 아주 크다. 반면 동일한 부계 혈통의 남자 시체가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볼까요?연구실이야, 놀이터야?따뜻한 봄날, 기자단 친구들은 봄처럼 설레는 마음을 안고
대전
에 있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으로 향했어요. 대학원 연구실에 가 보는 것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조금 긴장이 되기도 했지요. 그런 기자단을 맞아 준 것은 환한 얼굴로 시소를 타고있는 연구원들이었답니다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최근 필자가 근무하는 미국 국방성 합동 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전사자의 치아를 그 당시 치과 기록과 대조해 수십 명의 신원을 확인하기도 했다.법의인류학자, 쇄골에 주목하다시체의 신원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또 다른 뼈는 쇄골이다. 쇄골은 사람마다 모두 다르게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축에 강제징용됐던 한국(당시 일제강점기) 사람들도 3000여 명에 이른다. 제2차 세계
대전
에서 주요 군사기지로 이용됐던 일본 해군기지는 축 곳곳에 전쟁의 잔해를 남겼다. 태평양과학기지가 있는 웨노 섬에는 축에 들어오는 배를 감시했던 등대가 남아있다.“산호로 둘러싸인 축의 지형 특성상 배가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이 의수는 많은 절단 장애인들이 최근까지도 사용할 정도로 실용적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절단 장애인의 수가 더욱 많아졌다. 이 때엔 드디어 의수를 부착하는 팔에 남아 있는 근육의 움직임을 읽어 손가락을 움직이는 의수가 나타났다. 이 의수는 독일 의사 페르디난트 사우어브루흐가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육지에서도 즉시 지반의 변화를 알아차릴 수 있다. 동도 주요 구조물의 지반 움직임을
대전
에 있는 지질연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있기 때문이다. 송원경 지구환경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의 안내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직접 가봤다(이번에는 동도 등반이 시작됐다).모니터링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