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예
문헌
학예
문필
작품
순문학
부르주아문학
d라이브러리
"
문학
"(으)로 총 521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차별시대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가타카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하지만 실제로 보통 사람들은 유전자의 위력을 지나치게 크게 봅니다.상준_ SF는
문학
이든 영화든 미래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아니라 작가 나름대로 펼치는 미래에 대한 상상 예술입니다. 미래에는 이런 식으로까지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의견이죠. 우리가 SF작가들에게 정확히 예측하지 ... ...
① 인간유전체기능 연구사업단장 유향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유단장의 남편인 홍순효 교수다. 대만에서 삼국지를 전공한 남편은 현재 충남대 중국
문학
과 교수이자 문과대 학장을 겸임하고 있는데, 유단장이 욕먹고 논쟁에 휘말릴 때 “정확한 말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이를 통해 유단장은 대인관계에서 필요한 화법을 터득하고 자신의 ... ...
봄비와 함께 찾아온 누런 용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자신의 용감함을 자랑하고자 그 사자의 가죽을 벗겨서 둘러쓰고 다녔다. 서양의 위대한
문학
작품 중 하나인 플루타크 영웅전기에 나오는 이야기다.이야기가 나온 김에 3월의 별밤을 잠시 거닐어보자. 늦은 저녁 서녘으로 오리온이 걸려 있고, 쌍둥이자리가 뒤따르며, 게자리에 있는 산개성단 ...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꼬마배달부 마녀 키키1989년작/극장용 장편/1시간 53분카쿠노 에이코 원작의 아동
문학
을 애니매이션화한 작품. 사춘기 소녀의 미묘한 심리묘사를 키키를 통해 탁월하게 포착했다.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해외 로케이션을 통해 그린 아름다운 자연 풍경과 유럽식의 고풍스런 시가지 모습이 인상적이며, ... ...
구장산술 주비산경 완역한, 사회학자 차종천교수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통계 처리하는 정도이지 수학하고는 전혀 무관하다고 한다. 그의 학부때 전공이 영
문학
이라는 사실을 알면 더욱 놀라게 된다.이런 차교수가 몇달 전에는 구장산술과 주비산경이라는 동양수학고전을 번역하고 풀이하는 책을 냈다. 경험분석을 위주로 하는 전형적인 미국유학파 사회과학도인 그가 ... ...
문단의 귀재 이윤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받아들여지는 국내 현실에서‘인
문학
글쓰기 고수’의 이런 말이 무척 반가울 뿐이다.
문학
에서 신화로, 그리고 마침내 과학으로 글쓰기의 방향을 옮기고 있는 이윤기. 그의‘hot 과학 강연’은 앞으로 독자들의 기대에 충분히 부응할 것이다 ... ...
타우 제로 (Tau Zero)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때문에 현재의 과학기술로는 가까운 미래에 건설하기가 불가능하다. 작고한 저명한 천
문학
자 칼 세이건은 램제트 우주선이 완성된다면 ‘하나의 작은 세계가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타우 제로는 이처럼 항성간 우주선의 아이디어와 함께 상대성이론의 논리적 전개도 흥미롭게 펼쳐 보이고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흡수된 부분이다. 원자나 분자는 종류에 따라 특별한 파장의 빛을 흡수한다. 그래서 천
문학
자들은 흡수선의 위치를 지구상의 알려진 원소에서 나타나는 스펙트럼과 비교해 별의 구성원소나 성질을 알아내기도 한다.현재는 여러 별들을 특징적인 스펙트럼별로 분류한 체계를 사용한다. 보통 별의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뇌 신호전달 매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활성화시켜 세포 내의 다양한 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한다.캔델은 하버드 대학에서 영
문학
을 공부했지만 마음의 정체에 관심이 있었다. 결국 뉴욕 의과대학을 입학해 심리분석학을 전공하게 된 이 야심찬 과학자는 필자의 박사과정을 지도해준 은사이기도 하다. 캔델은 신경전달물질에 의한 ... ...
라마와의 랑데부(Rendezvous with Rama)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장면을 묘사 라마와의 랑데부는 1973년 발표 당시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비롯한 주요 SF
문학
상 네가지를 모두 석권했다. 그리고는 곧 SF의 주요 테마 중 하나인 ‘최초의 접촉’(first contact) 분야에서 고전의 반열에 오른다. 최초의 접촉이란 글자 그대로 인류가 다른 외계 문명과 처음으로 만나는 것을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