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
star
태양
해
d라이브러리
"
별
"(으)로 총 3,58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말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폭우가 화산 폭발 촉진한다! 지금껏 화산과 기후변화는
별
연관성이 없어 보였다. 하지만 이 둘을 연결시키는 연구 결과가 ‘네이처’ 4월 22일자에 실렸다. 팰크 아멜룽 미국 마이애미대학교 해양지질학과 교수팀은 지난 200년 동안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많은 비가 ... ...
[
별
헤는수학] ‘외계행성 탐험대’, ‘행성 사냥꾼:테스’ 태양계 밖에서 행성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어떤 부분이 줄어들었는지를 분석하면 행성의 대기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별
빛만으로 외계행성에 대해 이처럼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니 신기하지 않나요? 외계행성 발견하면 내 이름이 논문에외계행성 탐험대와 행성 사냥꾼:테스 프로젝트에는 지금까지 4만 5000명이 넘는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방법은 특
별
한 구
별
없이 다양한 형태의 외계행성을 찾을 수 있고, 특히 중심
별
없이 혼자서 우주를 떠도는 천체를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2019년 한국천문연구원에서도 홀로 떠돌아 다니는 외계행성 후보 ‘OGLE-2017-BLG-0560’을 발견했답니다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박쥐의 몸속에는 최대 200종의 바이러스가 사는 것으로 알려져 ‘바이러스 저장고’라는
별
칭을 얻었다. 이들 바이러스는 면역반응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완벽한 숙주의 몸속에서 끊임없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언제든 인간에게 옮겨갈 준비를 하고 있을지 모른다 ... ...
[SF에 묻는다] 공각기동대 vs. 생명창조자의 율법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세상을 만들지도 모릅니다. 생명창조자의 율법을 쓴 제임스 호건의 또 다른 작품인 ‘
별
의 계승자’ 4권 ‘내부우주’에 그런 내용이 나옵니다. 강력한 양자컴퓨터 내부에서 우연히 정보로 이뤄진 우주가 생겼고, 그 속에서 의식 있는 생명체가 살고 있습니다. 이들의 의식이 현실 세계의 육체를 ... ...
[
별
헤는수학] 랜선으로 떠나는 우주 여행, 이번 정류장은 화성입니다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코로나19 사태로 요즘 ‘랜선 여행’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사진을 보며 유명 여행지를 가상으로 방문하는 거죠. 그런 의미에서 천문학 시민과학프로젝트는 지구 밖 천체로 가상 여행을 떠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5월에는 달에 다녀왔는데요, 6월에는 화성으로 여행을 떠나보시 ... ...
과학동아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천체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6호
[퀴즈] 바이러스 이름과도 같은 태양의 가장 바깥층 이름은?
별
은 밤에만 볼 수 있을까요? 그렇지 않아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선 낮에 볼 ... 제외했어요.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댓글로 자신의 생각을 멋지게 쓴 친구 중 한 명을 뽑아
별
빛 미션왕을 선발할 예정이니 많이 참여해 주세요 ... ...
제임스웹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돈 폴라코 영국 워윅대 연구원은 2018년 BBC와의 인터뷰에서 “이는 태양과 같은
별
주변에 있는 거주 가능한 행성을 찾기 위한 시도가 될 것”이라며 “지구와 같은 행성을 탐지하는 데 멈추지 않고, 대기 성분에서 생명의 징후를 조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항공우주개발기구(JAXA)는 ... ...
[보드게임] 선구자의 개발 일지 보관소 게임 설계 시작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손으로 그리되 무리수를 정확히 표현할 수 없을까? → 시크릿피겨 전용 ‘무리수자’를
별
도 구성품으로 만들어 추가 구매할 수 있도록 함. 보드게임은 이처럼 출시 후에도 계속 사용자들의 반응을 살피며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 #문제 해결! 오승윤 거제상문고등학교 3학년처음 출시한 버전은 ... ...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큰 극대거성으로 반지름이 태양의 약 1650배에 이른다. 작가는 백조자리에 있는 수많은
별
을 담기 위해 백조자리를 9개의 패널(조각)로 나눴고, 2018년 5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총 153시간 동안 각 패널을 촬영했다. 선명하고 화려한 색감을 연출하기 위해 모자이크 방식으로 합성해 작품을 완성했다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