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산과의"(으)로 총 3,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산성화 · 카이퍼 벨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헥헥, 조금만 걸어도 땀이 차는 걸 보니 벌써 여름인가봐. 여름 하면? 역시 냉면이지! 근데 이 냉면, 왜 이렇게 셔? 혹시 냉면 그릇 안에서 산성화가 진행되고 있는 걸까…? 산성화(酸性化) 식초에서 신맛이 나는 이유는 ‘아세트산(CH3COOH)’이 들어있기 때문이에요. 아세트산처럼 수용액에서 수소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줄기가 뱀처럼 자라는 '뱀딸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요즘 논밭과 숲, 들판의 양지바른 곳에 가면 도톰하고 둥근 빨간색 열매를 볼 수 있어요. 바로 ‘뱀딸기’지요. 뱀딸기는 산에 가면 흔히 보이는 산딸기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산딸기가 나무인 것과 달리 뱀딸기는 풀이에요. 또 산딸기가 꽃줄기마다 2~6개의 흰색 꽃을 피우는 반면, 뱀딸기는 꽃줄기 ...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 지금까지 잘 버텨 왔지만, 더는 안 될 것 같아. 그래, 알아. 너는 정말 최고였어. 하지만 세상 사람들이 우리를 인정하지 않잖아. 이젠 그만 안녕…. 올해 크리스마스에는 초록색 페트병에 안녕을 고하자. 12월 25일부터 색깔이 있는 페트병 사용이 법으로 금지된 ... ...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크리스틴은 우리가 달에 갈 때 입을 우주복을 입고 있습니다. 이 우주복은 모든 우주인에게 맞을 겁니다.” 짐 브라이든스틴 미국항공우주국(NASA) 국장은 10월 15일 워싱턴DC NASA 본부에서 새로운 우주복을 공개했다. 흰색과 파란색, 빨간색이 어우러진 새 우주복 ‘xEMU(Exploration Extravehicular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잠깐 있을 거면 그냥 들어가고, 오래 있을 거면 이거 입으세요.”11월 8일 인천 연수구 극지연구소. 허순도 극지고환경연구부 책임연구원이 냉동실험실 앞에서 두툼한 파카 하나를 건넸다. 사진도 찍어야 하고, 장비 설명도 들어야 한다. 냉큼 파카를 받아 입었다. 냉동실험실의 문이 열리는 순 ... ...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쓸모 있는 물건은 이마트에 가서 찾으세요.”쓸모없는 물건을 만든다고 당당히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쓸모는 없을지언정 반드시 재미는 있는 물건들을 만들죠. 그 주인공은 바로 과학공학 콘텐츠 제작소 ‘긱블’입니다. 긱블은 자신들이 직접 기획하고 제작한 물건들을 영상에 담아 업로 ...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며 우주 공간 어딘가에 지구와 비슷한 행성이 존재할 것이라고 상상했다. 그 결과 태양계에 존재하는 8개의 행성을 찾았고, 약 100년 전에는 안드로메다은하도 발견됐다. 우리은하라는 공간을 벗어나 외부은하까지 우주관이 확장된 것이다. 태양계를 벗어 ... ...
- 시각, 청각, 촉각 로봇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우리는 지금까지 로보트 재권V의 팔, 다리, 몸통, 머리를 만들었고, 전원을 공급하고 인공지능을 넣었습니다. 주변 상황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 각종 센서를 달았고, 인간과 교류하기 위한 감정 표현도 시도했습니다. 이제 로보트 재권V는 우리와 함께 생활할 준비가 모두 끝났을까요? 아쉽게도 로봇 ... ...
- 백골 시체의 조용한 아우성 치아가 알려주는 진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1991년 발생한 ‘대구 개구리소년 실종사건’ 은 11년 6개월이 지난 2002년 9월 대구 달서구 와룡산 중턱에서 5명 모두 유골로 발견됐지만, 여전히 미제사건으로 남아 있다. 백골 시체가 발견되는 경우 사건의 초기 수사는 변사자의 신원확인에 집중된다. 사망자가 누군지 알아야 그 사람의 행적과 주 ... ...
- 40년 유인 우주 비행 역사의 산증인 두미트루 도린 프루나리우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믿을 수 없지만 필자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다녀온 지도 11년이 지났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이 있는데, 과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최근 우주 비행을 했던 우주인들의 경험을 듣다 보면 꽤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느껴진다. 일단 2008년 필자가 ISS에 갔을 당시엔 ‘큐폴라’라는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