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호
가맹
아래
d라이브러리
"
산하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자성재료로 탁월한 능력을 보이는 아모르퍼스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또한 포항제철
산하
산업과학기술연구소에서 아모르퍼스제조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기업측에서는 효성중공업이 변압기 규소강판을 아모르퍼스합금으로 대체하는데 성공한 바 있다.수소 먹고 사는 금속수소는 태양열과 함께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파인세라믹스분야는 절연 및 저항재료, 자성재료, 유전재료쪽은 상당 분량을 국내에서 생
산하
고 있으나 압전재료 반도성재료 박막재료 구조세라믹스 등은 국내생산이 극히 저조하다. 따라서 이들 분야에 연구개발이 집중되고 있다.신소재 연구가 아무래도 상품의 생산기술과 직결돼 있기 때문에 ... ...
루마니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일으켰다. 약 한달간 어학연수를 받는 것으로 일정이 짜여져 있었기 때문에 루마니아의
산하
를 구경할 기회가 그리 많지 않았지만 이동하는 도중 차창 밖으로 펼져지는 풍경은 마치 고향에 온 듯한 착각을 일으킬 정도였다. 사실 어떤 나라의 언어를 익히면 그 나라에 친근감을 느끼는 것은 당연하다 ...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원자로는 남한의 원자로와 같은 발전용이 아니고 플루토늄이 많이 섞인 찌꺼기를 생
산하
는 '핵폭탄용'원자로다. 북한은 이들 원자로에서 나오는 찌꺼기를 모아 두었다가 재처리시설이 완공되는대로 플루토늄을 분리해내려 하고 있다. 수천명의 핵과학자 보유북한의 원자로 크기나 재처리시설의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그치지 않았다. 당시 문교부법령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새로 만든 과학원을 과학기술처
산하
기관으로 만들면서까지 원생들에게는 3년간의 군복무를 국가지정연구기관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대체해 주었고 대기업사원 월급수준에 맞먹는 학자금까지 매달 지급했다.병역특례와 학자금지원 게다가 ... ...
(2) 연타율 높고 왼손 부담 크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경우 오타가 자주 발생한다.두벌식이 오타가 많다는 것은 지난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산하
한국중등상업실기교사 협의회에서 연구한 '컴퓨터용 한글자판의 학습진도에 관한 연구'에서도 드러났는데, 이 연구에 따르면 1글자 1오타로 적용했을 때 두벌식은 세벌식에 비해 50%나 더 오타가 ... ...
α(알파)파와 θ(세타)파를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CIA뿐만아니라 미의회에서도 초심리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 미국 의회 도서관
산하
연구기관에서도 심령현상이 교육의학 지질탐사 기업경영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 ...
지구의 나이, 지금 몇 살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믿으려는 기색을 역력히 내보이기도 했다.1926년 미국의 과학아카데미 국가연구평의회는
산하
에 지구연령에 관한 전문위원회를 설치했다. 홈즈는 여기에도 연구보고서를 계속 제출했다. 결국 이 위원회에서도 홈즈가 제시한 방법이 믿을 수 있는 유일한 지질학적 절대편년방법이라는 것을 인정하게 ... ...
정부출연 연구소 부처찾기 그 내막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소용돌이속에서도 감지된다.이번에 평가대상으로 지목된 연구소는 KIST 등 과기처
산하
19개 연구소와 생산기술연구소(상공부) 건설기술연구원(건설부) 식품개발연구원(농림수산부) 등 22개 기관이다.김진현 과기처장관은 이번 평가의 목적으로 △출연 연구기관의 미래지향적 기능과 역할 정립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공업의 발전은 자연과학내에 독자적인 기술학의 성립을 가져왔다.지난 89년 문교부
산하
중앙교육평가원에서 전국의 대학생을 상대로 작성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외 36%가 학과를 옮기고 싶다고 대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의 선택이 인생의 갈림길이 될지도 모른다고 했을 때 이렇게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