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DATA MATH] 웬디 카드웰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서울
하늘에서 굉음과 함께 한 줄기 빛이 눈부시게 빛났다.빛의 정체는 17m 크기의 소행성.소행성은 공중에서 산산이 조각나며 운석우를 내렸다.도로와 건물이 파손되고 통신, 전기도 끊겨버렸다.곧이어 뉴스 속보가 이어졌다. “지름 45m의 소행성이 지구에 접근하기까지 16시간 남았습니다 ... ...
[옥톡과 달냥의 우주 탐험대] 국제우주정거장과 지구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첫 탐사선으로 떠나 볼까? 국제우주정거장(ISS)지구에서 약 400km 높이에 떠 있어요.
서울
과 부산 사이의 거리와 맞먹을 만큼 긴 거리예요.하루 15번 지구의 주변을 공전★해요.우주정거장엔 1998년부터 우주인이 머물기 시작했어요. 이들은 정거장 안에서 우주를 관찰하고 연구한 뒤 지구로 ... ...
사고력 쑥쑥! 수학놀이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1호
...
[수학히어로 출동! 슈퍼 M] 버스를 타고 떠나볼까?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1호
미션 1. 어떤 버스를 타야 할까? 박동아 어린이는
서울
시 중랑구에 살아요. 그런데
서울
시 영등포구에 사는 이모네 집에 버스를 타고 가려고 해요. 동아가 타야 할 버스를 찾아주세요! 미션 2. 내가 탈 버스를 만들어 보자! 여러분은 버스를 타고 어디로 가고 싶은가요? 목적지를 정했다면,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공룡 화석 발굴 게임을 해봤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화석 복원이 이렇게 섬세한 작업이라 그런걸까요, 고생물학연구실의 화석이 보관된
서울
대 25-1동 지하실에는 화석에 붙은 암석을 제거하는 치과 드릴 소리가 끊임없이 들려온다는군요 복원한 화석을 마지막으로 조립한 후 박물관에 원하는 방식으로 전시하면 완성! 공룡 화석 사냥꾼이 된 것을 ... ...
[과동키즈] 삼국지 매니아가 철도 계획가로… “저는 성덕입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떠오르게 했다. 내가 초등학생일 때, 대한민국은 고속철도 사업을 한창 추진 중이었다.
서울
에서 부산까지 두 시간여 만에 갈 수 있는 기차가 생긴다는 소식에 모두가 기대감에 부풀었다. 그 당시 구독 중이던 과학동아에서도 이 뉴스를 다뤘다. 고속철도 차량을 도입할 때 독일의 이체(ICE)와 ... ...
[특집] 초거대 도시 어떻게 이동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시속 1280km에 달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론상으로는
서울
, 강릉 간(약 169km) 거리뿐만 아니라
서울
에서 부산(약 390km)까지도 20분 안에 주파가 가능합니다. 실제로 사우디아라비아는 2019년부터 버진하이퍼루프원과 네옴시티 주변인 홍해 부근에서 하이퍼루프 주행 시험을 하고 있습니다. ...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프랑수와 르드라삐에와 각자 자료를 찾고 연구를 하다가 2013년에 르드라삐에가 아예
서울
에 와서 함께 한 달 동안 연구했어요. 이후 2014년 가을부터 2015년 여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에서 방문 교수로 지냈는데 마침 그 해 봄 버클리에 있는 MSRI(수리과학연구소)에서 동역학 관련 학회 ... ...
[수플리] 수학 플레이리스트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생활 곳곳에 숨어있는 원주율 원의 둘레는 원의 지름보다 항상 약 3.14배 길어요. 이를 원주율이라고 해요. 원의 둘레와 원의 지름 사이의 비율을 뜻 ... 건설에 참여해 보세요. 일시 : 2023년 3월 12일(일)까지장소 :
서울
노원구
서울
시립 북
서울
미술관관람료 : 무료홈페이지 : sema.seoul.go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하지만 여러분, 그래도 순간이동을 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는 것 아니겠어요? 김태현
서울
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입자의 양자상태를 하나하나 전송하는 식의 양자전송은 원칙적으로는 가능하다”며 저희 래빗홀 컴퍼니에 질문을 하나 던졌습니다. “원칙적으로 양자상태로 표현한 정보는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