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d라이브러리
"
셀
"(으)로 총 683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양분을 먹고 자라요. 그러다가 네 번째 잎이 나면서 뿌리를 내리지요. 마치 벼가 숫자를
셀
수 있는 것처럼 정확해요. 벼의 뿌리는 한 가닥의 굵기가 모두 비슷해요. 할아버지 수염처럼 생겼다고 해서 수염뿌리라고 부르기도 하지요. 하지만 쌍떡잎식물의 뿌리는 가운데 굵은 원뿌리가 있고 주위에 실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제한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또 얼마든지 원하는 크기만큼 레이저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셀
수도 없이 많은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의 레이저가 연구되고 만들어지고 있는 요즘, 레이저를 연구하는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발전의 정도를 가늠하는 기준이 과거엔 전자였다면 이제는 광학, 그중에서도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2008년부터 화학저널인 ‘앙게반테 케미’의 편집위원이고 김빛내리 교수도 올해 ‘
셀
’의 편집위원으로 선임됐습니다(현 교수도 2005년부터 재료과학저널인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과학도를 꿈꾸는 학생들이나 과학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 이번 성과전시회에 ... ...
1982년 토머스 체크 교수의 RNA 효소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강력한 증거가 된다. 예상대로 스플라이싱은 일어났고 연구자들은 이 결과를 1982년 ‘
셀
’에 발표하면서 ‘리보자임(ribozyme)’이란 신조어를 처음 사용했다.“샴페인을 마시며 우리는 특정 생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RNA를 지칭하는 단어 후보 목록을 만들었다. 그 결과 리보핵산(ribonucleic acid)이면서 ... ...
김빛내리 교수 ‘
셀
’지 편집위원에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49편의 논문을 발표한 김 교수의 연구성과를 높이 평가했다. 김 교수는 앞으로
셀
에 제출된 논문을 심사하고 관련 연구 분야에 자문을 하게 된다. 김 교수는 이에 앞선 1월 5일 현택환(46)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함께 서울대 최초 ‘중견 석좌교수’로 임명됐다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생리학과 유리 키리초크 교수팀은 2월 초 발행된 생명 분야의 전문학술지 ‘
셀
’에 그 해답을 공개했다. 키리초크 교수가 주목한 것은 바로 정자의 표면 막에 있는 ‘Hv1’이라는 분자였다. Hv1이란 분자가 수소이온을 밖으로 배출하는 구멍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Hv1의 문을 여는 열쇠가 외부 ... ...
복잡한 실험 분석은 내게 맡겨라 멘토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단계별로 배울 수 있는 키트. 태양광에너지가 물을 분해해 수소를 얻으면 연료전지
셀
이 수소로 전기를 만든다. 모든 과정을 단계별로 실험할 수 있다.엔진모델 만들기NSI 인터네셔널 | 15만원엔진 모형을 조립해보며 엔진의 구조와 원리를 배우는 키트. 실제 엔진과가장 비슷하게 만들 수 있고, ... ...
유해균까지 감싸 안는 장의 고차원 전략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단백질을 활성화시켜 칼슘을 분비하고 듀옥스를 자극한다는 사실을 밝혀 ‘디벨롭멘탈
셀
’ 3월 18일자에 발표했다.놀랍게도 장세포가 유해균을 인지하고 활성산소를 생성하는 데까지는 수초밖에 걸리지 않았다. 항체를 만들어 면역계를 유지하는 것보다 매우 빠르고 효과적인 메커니즘인 셈이다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수 있는 모든 경우를 헤아릴 때는 둘 중 한 가지를 고정시켜야 모든 경우를 빼놓지 않고
셀
수 있기 때문이다. “경기는 모두 몇 번 해야 합니까?”라는 물음에 “4번”이라고 답하는 학생이 있다. 나를 포함한 5명 중에서 나와 팔씨름을 하는 사람은 모두 4사람 이고 서로 한 번씩 경기를 하니까 자기 ... ...
찰칵 사진으로 떠나는 생태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두 손으로 꼭 붙들고 있는 것처럼 보이네요. 생명이 꿈틀대는 자연자연에서는 매 순간
셀
수 없이 많은 생명이 새로 태어나고 있어요. 땅을 뚫고 올라오는 새싹이나 새 생명을 품고 있는 알 등, 어린이 여러분도 숲이나 연못에서 생명이 꿈틀대는 모습을 본 적이 있을 거예요. 그렇지만 어린 생명들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