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1869년 6월 1일 에디슨의 첫 발명품, '전자 투표 기록기'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정치인들은 에디슨의 투표 기록기가 설치되면, 서로의 이견을 좁히는 과정인 토론 시간이 줄어들어 소수의 의견이 무시될 거라고 생각했어요. 전자 투표 방식은 에디슨의 발명 후 100년이 지난 1973년이 되어서야 처음으로 실시됐답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어린이를 위한 디지털 경제생활 안내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거죠. 그러면 우리는 미디어를 쉽게 끊지 못할 수 있어요. 어린이들이 미디어를 오랜 시간 사용하고 싶어 하는 것은, 어린이만의 책임이 아닌 거예요. 그런데 더 큰 문제가 있어요. 공짜 미디어에 익숙해지다 더 큰 값을 치를 수 있다는 거예요. 예를 들어, 포털 사이트나 소셜 미디어의 여러 광고들 ... ...
- [특별기고] 수학적 사고력 고루 평가하는 수능 되길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꼽은 문항 중 수학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문제가 대부분이라 생각하지만, 분명 제한된 시간 내에 풀기 너무 어려운 문제도 있습니다. 과거 수능의 역사에서 많은 학생이 수학을 싫어하게 만드는 초고난도 문제가 왕왕 나오곤 했는데요. 전 이런 문제가 수능에 나오는 이유는 교육과정의 범위가 ... ...
- 1차 프로젝트 엿보기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대수와 기하 워크숍그레고리 산카란 영국 배스대학교 교수 아프리카는 연구할 시간이나 자금이 현저히 부족해 수학 연구의 진척을 이루기 어렵다는 문제에 당면해 있습니다. 아프리카 수학자가 유럽에서 열리는 학회에 방문하거나 아프리카에서 학회를 열기도 어렵지요. 그래서 그레고리 산카란 ... ...
- [Mathematician] 질병 분석부터 지하철 혼잡도 개선까지 삶의 문제 해결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혼잡을 막기 위한 방법을 연구했습니다. 서울시 25개 구의 교통카드 데이터에서 출퇴근 시간 승하차 역을 분석해 출퇴근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둘로 나누는 방법을 내놓았지요. 국 교수가 실생활에 쓰이는 수학에 관심을 갖게 된 건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재학 시절 지도교수인 군다르 칼손 미국 ... ...
- [러셀 탐구생활] 제11장. 언제나 옳은 사상은 없다수학동아 l2023년 11호
- 023년 한국.“이것으로 북토크를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이제 질의응답 시간인데요. 질문이 있으실까요?” 한 학생이 손을 들었습니다. “최정담 작가님께서는 책에서 수학적 사고의 중요성을 누차 강조하셨습니다. 그런데 이런 사고의 힘을 키운다고 한들 수학 문제를 푸는 상황 ...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을 위한 자유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자극하는 기사를 썼던 흑역사가 떠올라 부끄러웠습니다. 이런 차분한 분위기라면, 조금 시간이 걸릴지라도, 한국도 “인류에게 큰 공헌을 한 사람”을 배출할 수 있겠다는 희망이 생겼습니다. 특히 올해 노벨상처럼 앞으로의 노벨상도 상용화가 중요한 키워드가 된다면 기초과학 응용 연구에 ...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양자상태로부터 광전자가 생성되는데, 이 두 양자상태로부터 생성되는 광전자들의 지연 시간에 약 25아토초 정도의 미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 지연 현상은 이론적인 연구에서 제시된 값 보다 두 배 정도 큰 것이어서 해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 문제의 정답은 륄리에 교수가 찾았다. ... ...
-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100년 뒤에 사람이 살 수 있을까? 암을 정복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정답은 시간이 흐르면서 변합니다. 지금은 불가능해도 기술이 발전하면 언젠가 가능해질 수 있으니까요. 이건 불가능과 가능의 문제죠. 그런데 수학은 영원히 불가능한 ‘부존재’와 특정 조건 하에서 언제나 가능한 ... ...
- [최신 이슈] 있었는데, 없습니다 ... 희귀동위원소 산소-28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유 “하지만 아니었습니다.” 이론적으로 산소-28이 가속기 안에서 만들어져 존재했을 시간은 10-21초로, 실험으로 직접 관측하는 건 불가능한 찰나입니다. 이 때문에 이번 연구에서 데이터 분석을 담당한 도쿄공대 연구팀은 산소-28이 붕괴한 뒤 남은 산소-24와 중성자 4개로 산소-28가 생성되긴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