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행자
d라이브러리
"
신비가
"(으)로 총 1,034건 검색되었습니다.
4. 우주는 뻥튀기한 것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찰나가 얼마나 짧은 시간인지 실감할 수는 없지만, 찰나와 같은 시간은 우주가 탄생하면서 시작됐다. 또 우주 탄생 직후 찰나보다 짧은 시간에 우주가 ${10}^{30}$배나 커지는 엄청난 일이 벌어졌다. 찰나에 벌어지는 우주의 신비를 벗겨보자.아우구스티누스 가라사대현재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우주는 ... ...
나는 무엇에 이끌려 행동할까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것이 밝혀지는데 자그마치 100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했다. 그 뒤 20세기에 이르러 뇌의
신비가
하나둘씩 밝혀지면서 오늘날 우리는 뇌에 1000억개가 넘는 뉴런들이 신경교세포(glia cell)와 어우러져 질서정연한 배열을 하고 있으며, 이들은 시냅스에 의해 서로 연결돼 회로를 이룬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 ...
5000m 심해에 심은 한국의 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요가하는 자세로 있어야 했다. 다리에 쥐가 두번씩이나 났지만 눈앞에 펼쳐지는 심해의
신비가
고통을 없애는 진통제 역할을 했다고 한다. 그는 잠수하는 10시간 동안 5리터쯤 되는 뚜껑 달린 플라스틱통에다 소변을 해결해야 했다며 웃었다.6주 동안 태평양을 항해하며 이메일을 보낼 때는 가족들에 ... ...
우주에 일렁이는 파도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시원한 파도가 절로 생각나는 뜨거운 여름이다. 바닷가에서 밀려오는 파도를 만난 적이 있는가. 우주에서 넘실거리는 파도는 어떤 모습일까.지난 5월 30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사진을 보자. 적외선 우주망원경 ‘스피처’가 찍은 이 사진은 거대한 파도가 출렁이는 것 같은 장면을 담고 있 ... ...
한반도 최초의 생명체 간직한 분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소청도는 백령도, 대청도와 함께 서해 최북단에 있는 섬이다. 백령도와 대청도의 유명세에 가려 소청도를 찾는 관광객은 뜸한 편이다. 그러나 섬 동쪽 해안에는 마치 바위에 하얗게 분칠을 한듯해서 ‘분바위’라고 불리는 대리석 기둥들이 해안선을 따라 병풍을 두른 듯 위용을 드러내며 푸른 바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실용화된다.식물처럼 광합성을 하는 동물이 개발된다. 뇌의 인지기능이 규명돼 뇌의
신비가
밝혀진다. 거대망원경을 이용해 태양계 밖 지구와 비슷한 외계행성의 존재와 특성이 규명된다.[ 2021~2025년 등장할 기술들 ]>>> 2021• 태양계 행성 탐사위성 실용화• 태양계 밖 지구유사 외계행성 존재 규명(2 ... ...
뇌 속에 감춰진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린 '모나리자'는 웃는 듯 마는 듯 신비한 미소로 유명하다. 혹시 모나리자의 신비한 미소는 인간의 뇌 때문일까. 최근 '뇌, 아름다움을 말하다'를 펴낸 한성대 미디어디자인컨텐츠학부 지상현 교수는 "그렇다"고 말한다.모나리자의 얼굴은 코를 중심으로 왼쪽과 오른쪽 입이 ... ...
해양연, 해저 탐사 무인 잠수정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한국에서도 심해를 탐사하는 무인 잠수정이 개발됐다. 이로써 앞으로 심해의 신비를 우리 기술로 파헤칠 수 있게 됐다.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는 바다 밑 6000m까지 내려갈 수 있는 무인잠수정(ROV)을 최근 개발해 11월경 동해에서 시운전에 들어간다.이 무인잠수정은 로봇 팔과 다양 ... ...
신이 내린 선물 곰팡이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곰팡이라고 하면 먼저 무엇이 떠오를까. 장마철에 벽지에 낀 까만 얼룩? 상한 빵과 음식을 뒤덮은 솜털? 발가락에 생기는 무좀? 머리에 생기는 비듬? 흔히 곰팡이를 혐오스러운 미생물로 생각한다. 특히 피부를 파고드는 무좀균은 곰팡이의 대표적인 악이다. 무좀균을 죽이기 위해 빙초산에 발을 ... ...
우주의 신비를 찾아나선 대서사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과학저술의 대표 걸작, 20세기에 가장 많이 읽힌 과학 고전.칼 세이건의 ‘코스모스’(Cosmos)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책은 1980년 미국에서 1판이 출간된 이래 영어판만 600만부가 팔리고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에 70주 연속 실린 ‘초 베스트셀러 과학책’이다. 과학과 조금이라도 인연을 맺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