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숄더
견부
책임
사명
어깨 부분
shoulder
d라이브러리
"
어깨
"(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유리교량 ‘스카이워크’ 등을 꼽았다. 인천대교가 전 세계의 내로라하는 건축물과
어깨
를 나란히 하고 있다는 뜻이다. 4년 4개월이란 짧은 기간에 바다를 가로지르는 구간이 12km나 되는 교량을 건설하는 일은 세계 건설사에도 드문 일이다.교량 지탱하는 거대한 부채살인천대교와 가까워지자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박사는 하필 해저지진이 빈발한 이런 지역을 탐사구역으로 정했냐는 기자의 질문에
어깨
를 으쓱했다. 통가 해역은 지금까지 수차례 탐사를 거쳐 금과 은, 구리 같은 귀금속이 풍부한 열수광상이 존재할 확률이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번 탐사에서는 경상북도 넓이의 탐사구역에서 시료를 채취할 ... ...
장구와 북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둥둥둥’ 둔탁하지만 힘이 넘치는 소리에
어깨
가 들썩인다. 사물놀이나 농악놀이는 타악기 위주로 편성되지만 듣는 이로 하여금
어깨
춤을 추게 만드는 묘 ... 만약 국악과 좀 더 친숙해지고 싶다면 합 장단에 귀를 기울여 보자. 어느새 리듬에 맞춰
어깨
춤을 추는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 ... ...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시작했다. 이 때까지 안전띠는 허리만 감싸는 게 전부였지만 1951년 미국의 닐스 볼린이
어깨
도 함께 감싸는 안전띠를 개발해 안전성을 더욱 높였다. 우리나라는 1987년에 안전띠 착용을 의무화했다. 2001년부터 안전띠매기 운동을 펼치면서 차를 타면 안전띠를 매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로 자리잡았다 ... ...
공이 공중에 떴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있으면 할 수 있는 간단하고 재미있는 실험이랍니다.고대 그리스 신화에는 날개를
어깨
에 붙이고 태양을 향해 날아올랐다가 추락한 이카로스의 안타까운 이야기가 있습니다. 르네상스 시대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수백 장에 달하는 비행물체 설계도를 남겼지요. 하늘을 날고자 하는 인간의 꿈은 ... ...
Part1. 면발 맛대결 기계 vs 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부분 따라 식감 다른 도삭면“저길 봐. 면이 날고 있어.”조리사의
어깨
에 걸쳐진 반죽 덩어리에서 기다란 하얀 면들이 후드득하고 떨어졌다. 중국에서 온 슈리군 조리사의 손에 들린 도구라고는 납작하고 손바닥만 한 스테인리스 칼뿐. 그는 물컹한 밀가루 반죽은 조금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듯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뒤 알맞은 크기로 썰어낸다. 에도시대에는 상인들이 야키라라 불리는 이동식 포장마차를
어깨
에 짊어지고 다니며 소바를 팔았다. 미리 삶아 놓은 면에 국물만 부으면 음식이 완성되기 때문에 사람들은 거리에서 소바를 먹으며 한 끼 식사를 대신하곤 했다. 소바는 일본 최초의 패스트푸드인 셈이다 ... ...
밤하늘 별은 얼마나 많을까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했습니다. 저 숱한 별들 중에 가장 가냘프고 가장 빛나는 별님 하나가 그만 길을 잃고 내
어깨
에 내려앉아 고이 잠들어 있노라고.”주인공 ‘나’에게 양식을 갖다 주러 왔다가 돌아가지 못하고 옆에서 밤을 지내게 된 스테파네트 아가씨와의 이야기를 담은 알퐁스 도데의 단편소설 ‘별’의 마지막 ... ...
일본 작가 카가야가 그린 밤하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한 손으로 사자의 털을 쓰다듬고 있다. 사자의 눈은 먼 하늘을 응시하는 듯하지만 자신의
어깨
에 머리를 기댄 여신에 대한 무한한 애정과 다가올 운명에 대한 예감에 떨리고 있다.셀레네한테 버림받은 뒤 네메아에서 행패를 부리던 사자는 영웅 헤라클레스에게 죽임을 당하고 가죽은 벗겨져 ... ...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갖췄다. 연구단이 좋은 연구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비결은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단과
어깨
를 나란히 하며 연구해 온 덕분인 셈이다. 제 단장은 “X선 영상기술은 나노과학과 생명과학의 발전을 이끌 뿐 아니라 과학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며 “그 중심에우리 연구단이 있을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