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대
정반대
식역
관직
일자리
등장인물
분장
d라이브러리
"
역
"(으)로 총 774건 검색되었습니다.
조류독감 비상사태를 선포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교체해 H5N1 면
역
력이 생기는지 확인하는 동물실험을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성 교수는
역
유전학기술을 이용한 H5N1 백신도 개발 중이다. 바이러스 RNA에서 헤마글루티닌과 뉴라미다제를 만드는 유전자만 꺼내 이를 DNA로 바꿔 세포에 넣어 키운 다음 백신으로 제조하는 방법이다. 바이러스 자체를 ... ...
삼각뿔 모양 영양 창고 간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몸 오른쪽에 치우쳐 있는 간은 무게가 약 1.5kg에 달한다. 색깔은 검붉은 빛이다. 간은
역
삼각뿔 모양이다. 위를 향해 있는 면은 비교적 평평하다. 간의 위쪽에 가로막을 경계로 오른쪽 허파와 심장의 일부가 놓여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간은 왼쪽보다 오른쪽이 더 내려와 있다. 간의 왼쪽(몸 전체에서 ... ...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여름의 계절풍을 초래하는 우기(雨期) 혹은 우기에 내리는 비를 말하기도 한다 몬순은 지
역
마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에 나타나는 동아시아 몬순은 여름(따뜻한 남동풍)과 겨울(차가운 북서풍)에 뚜렷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 장마는 여름 몬순 기간에 나타난다 그러나 몬순과 ... ...
미술로 풀어보는 수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프랙탈은 자연계 불규칙성을 분석하고 설명한다. 통상적인 기하학에서 분석하지 않는 영
역
의 빗장을 푸는 열쇠인 셈이다.한편 신체 일부분인 혀와 항문, 눈으로 만든 꽃을 반복해서 배열한 이중근의 작품 ‘달콤한 혀’는 도발적인 이미지로 즐거움을 선사한다. 이처럼 반복을 소재로 눈을 ... ...
와이어드넥스트 2005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여행하려면 지구와 다른 중력 환경과 거센 먼지 폭풍을 이겨내야 한다. 편안함과 기능성
역
시 주요 고려 대상이다. 미래 우주복은 통신 장치와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헬멧과 첨단 소재로 이뤄진다.R O B O N A U T고장난 인공위성을 수리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지만 정작 직접 작업해야하는 우주인에겐 ... ...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합성하는
역
할을 한다 DNA가 유전에 관한 '설계도'라 한다면 RNA는 그것의 '전사·번
역
도'인 셈이다한 개의 칩위에 10만개 이상의 소자가 집적된 회로 최초의 VLSI는 64KDRAM이다 현재 4M(메가)DRAM까지 개발돼 있다마하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는 제트엔진으로 터빈이 없다 속도가 빨라 터빈을 사용하여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아시아의 광대한 지
역
에 걸쳐 여름과 겨울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반대로 나타나는 지
역
지구상의 대규모적인 풍계(風系)에는 플래너터리(planetary) 풍계가 있고 대륙과 해양 사이에는 계절에 따라 풍향이 반대가 되는 계절풍(몬순)대의 풍계가 있다 얇은 철판에 용융된 아연을 도금한 것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수평선이 있을 때는 좁은 어깨가 넓어 보이며 도리어 엉덩이는 작아 보이는 효과가 있다.
역
으로 수직선이 많아지면 시선을 수직으로 끄는 힘이 생겨 길이가 길어 보이는 효과가 있다.사선은 시선이 모이는 쪽은 좁아 보이고 퍼져나가는 쪽은 넓어 보이는 효과가 있으므로 대각선의 각도가 급하지 ... ...
연세대, 선충 수명 10배 늘려주는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양의 지방질을 순식간에 체내에 축적해 비만상태가 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 원리를
역
으로 이용하면 비만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백 교수는 “다우몬의 휴면 효과를 이용하면 ‘소나무 에이즈’라 불리는 소나무 재선충이나 작물 해충을 영원히 잠들게 해 박멸할 수 있을 ... ...
까마귀 지능, 침팬지와 막상막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한 ‘영재’까치였다. 이상임씨는 “우리가 ‘깍깍’거리며 까치를 흉내내자 까복이가
역
으로 우리 소리를 흉내내 ‘악악’거렸다”며 “사람이 다가가거나 멀리 있는 사람을 부를 때 ‘악악’하는 소리를 내곤 했다”고 회상했다. 연구자들이 이 소리를 녹음해 분석한 결과, 사람 귀에는 어설프게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