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시안
최초
본래
처음
시작
멀리보기
멀리보기눈
d라이브러리
"
원시
"(으)로 총 1,020건 검색되었습니다.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해면이 고등동물의 어버이라고 말하면서 라마르크를 공부할 것을 권했다.그는 뜨거웠던
원시
지구가 점차 차가워지는 환경 때문에 더운 피를 지닌 고등동물이 생겨났다고 생각했다.그랜트 교수는 진화론자였던 것이다.당시 에든버러대에서 그랜트 교수가 유일한 진화론자는 아니었다. 지질학을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그러므로 나는, 이 지구상에 살았던 모든 생물들은 생명이 첫 숨을 쉬었던 하나의
원시
형태에서 유래했을 것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나는 젊은 친구에게서 호메오박스 얘기를 듣는 순간 이 구절을 생각했다오. 역시 내 생각이 틀리진 않았나 보오.인간에게만 존재하는 ‘레고블록’은 ... ...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에서 최초로 위석(胃石)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우리는 보존이 매우 잘된 용각류 골격과 곡룡류 화석 다수, 그리고 최근에 알려진
원시
각룡류 야마케라톱스(Yamaceratops), 그리고 공룡알 둥지를 발굴했다. 특히 캠프 바로 옆에서 용각류 화석지를 발견했는데 비록 머리뼈는 찾지 못했지만 몸뼈가 거의 온전히 보존돼 있었다. 이 용각류뼈들을 분리해 ... ...
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포착했다. 특히 달 크기의 10분의 1도 안 되는 좁은 하늘을 관측해 빅뱅 후 막 태어난
원시
은하부터 성년 은하에 이르기까지 수만 개의 은하로 꽉 차 있는 우주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여줬다.가장 중요한 관측임무는 V(은하 후퇴속도)=H·d(거리)라는 허블 법칙에 포함된 허블 상수(H)를 구하는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기생에 최적화하기 위해 극단적으로 퇴화한 상태다. 따라서 미미바이러스는 오히려 ‘
원시
적인’ 형태의 바이러스인 셈이다. 1억 년 전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악어나 상어, 은행나무가 살아있는 화석으로 여겨지는 것과 비슷하다. 최근 해양수 시료를 분석한 결과 거대 바이러스와 비슷한 ... ...
내 공룡 친구는 어디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조류 진화에 대한 비밀이 밝혀지기 했어. 캐나다 캘거리대학교의 연구팀은 공룡과
원시
조류인 시조새의 두개골을 CT스캔했어. 그 결과 티라노사우루스 렉스는 뇌 앞부분에 커다란 후구를 갖고 있어 뛰어난 후각을 가지고 있었을 거라는 결론을 얻었지. 뛰어난 후각은 밤에 공격하거나 넓은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나뭇가지 흔들고 막대로 물을 친 이유제작진은 뉴질랜드 올로케이션으로 카메라에 담은
원시
자연의 배경에, 영화 ‘유령’의 민병천 감독이 이끄는 올리브 스튜디오의 70여 명이 순수 국내 그래픽기술로 구현한 공룡을 합성해 실감 나는 화면을 완성했다. 먼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스토리보드에 ... ...
[생명과학]흰개미 생존의 비밀은 이중 공생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폐목재에서 바이오연료를 얻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열쇠를 쥐고 있는 곤충 흰개미. 이
원시
적인 생명체는 어떻게 나무만 먹고도 살 수 있을까.그 비밀이 흰개미 장에 기생하는 원생생물에 다시 기생하는 박테리아의 역할에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흰개미가 나무의 섬유질, 즉 셀룰로오스를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고도로 발달됐을 수 있다. 하등한 플라나리아도 신경세포가 머리 부분에 모인
원시
적 뇌가 있다.그런데 외계생명체는 지구생명체와 싸울 수밖에 없을까? 그들은 지구인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을 순 없나? 아마 SF영화에서 종종 이런 설정을 끌어들이는 이유는 외계생명체에 대한 막연한 공포감에서 ... ...
전기장으로 잠자는 유전자를 깨운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것. 그러자 놀라운 현상이 나타났다. 고사리처럼 생긴 관중은 화석에서나 볼 수 있는
원시
양치류 형태로 바뀌어 자랐고 무지개송어는 아래턱이 툭 튀어나온, 유럽에서는 150년 전에 멸종한 야생형으로 바뀌었다. 옥수수 역시 대 하나에 12자루까지 달려 야생 옥수수를 연상시켰고 밀은 덤불처럼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