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통"(으)로 총 512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과학동아 l2000년 07호
- 따라 돈다. 그리고 망원경의 눈을 따라 천문학자들도 하루종일 태양을 지킨다.하얀색의 원통형 태양망원경은 5개의 작은 망원경으로 구성돼 있다. 태양의 백색광을 관측하는 망원경, 수소원자핵인 H-알파선을 관측하는 망원경, 태양 표면의 자기장 변화를 검출하는 VMG와 LMG 망원경, 마지막 하나는 ... ...
- 측우기·수표·풍기죽과학동아 l2000년 05호
- 도는 속도를 통해 풍속을 측정한다. 또한 우량계는 안지름 20cm 지면에서 높이 20cm의 원통에 쌓인 빗물의 양을 잰다. 지금은 우량계에 자동측정장치가 돼 있어 사람이 직접 재보지 않아도 우량 수치가 통제센터에 들어온다. 이를 보면 기계 장치가 조금 더 정교해졌을 뿐 비와 바람을 측정해서 기상을 ... ...
- 꽃 색깔 연출하는 화청소과학동아 l2000년 04호
- 보존된 아름다운 꽃다발을 만들기도 한다. 새로 꺾어온 꽃을 아황산가스로 채워진 유리 원통 안에 넣고 24시간 동안 방치해 두자. 그러면 꽃이 하얀 색으로 변한 채 죽는다. 이를 꺼내 바람이 잘 부는 그늘진 곳에 실로 매달아둬 건조시킨다. 이때 완전히 희게 변했던 꽃은 본연의 색으로 되돌아온다. ... ...
-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과학동아 l2000년 01호
- 것들이 더러 있다. 오렌지, 배, 코코넛 등이 그런 종류이다. 포도나 수박과 같은 과일은 원통대칭(하나의 공통 축을 지나는 무수한 대칭면과 이 축에 수직 방향으로 전체를 이등분하는 하나의 대칭면을 가지는 대칭)이다. 바나나는 좌우 대칭의 예이다. 나선 구조는 비대칭식물의 세계에서 비대칭을 ...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과학동아 l1999년 11호
- π(1 X ${10}^{-9}$m)²(1m) = π X ${10}^{-18}$m³이다. 구의 반지름을 r이라 하고 구의 부피(4πr³/3)를 원통의 부피와 같게 놓으면 반지름은 1μm이다. DNA 구의 지름은 세포 지름의 10분의 1정도인데, 그 이유는 DNA전부가 하나의 구로 뭉쳐져 있지도 않을뿐더러, 산성인 DNA는 히스톤(histone)이 ...
- 만약의 사태 대비하는 다중안전장치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세슘과 같은 고체 방사성물질을 흡수한다.두번째 방호벽은 핵연료를 싸고 있는 원통형 연료피복관으로 지르코늄 합금으로 만든다. 여기에 연료팰릿을 넣고 봉하면 핵연료봉이 된다. 연료피복관은 핵연료에서 발생하는 기체 방사성물질을 가두는 역할을 한다.세번째 방호벽은 원자로 압력용기. ... ...
- ② 과학을 실현한 미술가들과학동아 l1999년 06호
- 성질을 형태에서 찾았던 세잔은 모나리자를 원통이라는 형태로 보았다. 피카소는 그 원통을 각진 면들로 단순화했다.몬드리앙과 칸딘스키는 한 단계 더 나아가 형태의 본질을 형태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에서 찾았다. 그들이 찾은 것은 점, 선, 면이었다. 형태는 면들의 집적으로 이루어진 ... ...
- Ⅳ. 중세의 천장은 왜 고딕식인가과학동아 l1999년 05호
- 올라갈 수밖에 없어서 보통 3-5개의 발코니가 말발굽 모양으로 설치돼 실린더 모양의 원통형 체적을 이루게 된다.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낭만주의 음악은 장중하고 미려한 대규모 편성의 관현악이 주류를 이룸에 따라 이러한 음악을 연주하기 위한 대형의 홀이 필요했다. 이때부터 비로소 오늘날에 ... ...
- Ⅲ. 키 큰 나무에서 배우 고층 건축과학동아 l1999년 05호
- 사용하기 위해 어느 정도 속이 비어 있어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속을 완전히 비워 원통형을 만드는 것으로 이는 건물의 안정성에도 매우 유리하다. 건물은 또한 창문이 필요하기 때문에 둘레에 적당한 개구부가 필요하다. 결국 건물 외피에 구멍이 난 튜브가 고층 건축구조물로 가장 적합하다는 ... ...
- 재미있는 여러가지 차원이야기과학동아 l1999년 04호
- 각 단면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했는데 자연의 여러 형태를 기본적인 기하학적 형상(원추, 원통, 구 등)으로 환원, 사물의 존재성을 2차원으로 재구성하고자 했다. 사물을 그대로 모사하는 것이 아니라 동작의 연속적인 포착을 통해 물체를 표현하려 했다. 즉 순간의 2차원 단면을 그려내 하나의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