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자"(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협력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 연구실은 연구에 필요한 ‘HIF1-α’ 유전자를 분리하려고 시도한 적이 있었습니다. 기존의 유전학적 기법을 이용해 분리했지만, 정상적인 기능이 안 나왔습니다. 대안으로 생화학적 방법이 거론됐고, 이를 이용해 단백질을 정제하기로 했습니다.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바꾸려면 직접 넣어줘야 하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프라임 에디팅은 절단과 유전자 치환이 동시에 가능합니다. 원리를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헤드폰의 ‘노이즈 캔슬링’, 어떻게?☞바로가기(104p)최근 출시된 ‘에어팟 프로’에 노이즈 캔슬링(Noise Cancelling) 기능이 탑재됐습니다.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복제 양 ‘돌리’가 등장하면서 동물 복제 연구가 본격화됐다.중국에서는 반려동물 유전자 복제 회사인 시노진이 2017년 반려견 복제 서비스를 개시한 데 이어, 2019년 8월에는 최초로 반려묘를 복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사진). 이 반려묘는 올해 1월 사망한 반려묘로부터 추출한 세포로 만든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같은 새로운 육종 기술은 전향적으로 검토하는 분위기다. 박 교수는 “최근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GMO가 등장하고 있다”며 “변화하는 연구 환경에 맞춰 GMO 심사 절차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 [스쿨리포트A+] 이론 실습 연계 보고서 - 멘델의 유전법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설명했습니다. 완두콩의 색과 종자의 모양처럼 개체가 가진 표현형마다 우성과 열성의 유전자형이 있으며, 부모 세대의 완두콩 암꽃과 수꽃으로부터 하나씩 받은 형질 중 어느 한쪽 형질만 일정한 수학적 규칙에 따라 나타난다는 겁니다. 이 수행평가는 멘델의 유전법칙을 토대로 자신이 만들고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어려워 연구에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고 교수팀은 우선 쥐를 성체로 키운 뒤 필요한 유전자의 발현을 없애는 작업을 진행한다. 고 교수는 “현재까지 시냅스 접착 단백질 연구를 위해, 녹아웃 쥐와 녹다운 쥐 등 형질전환 쥐 총 30여 종을 제작했다”며 “이들을 활용해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 시냅스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있습니다. 제가 롤모델로 삼고 있는 스타 쥐 선배님은 전사 촉진제 중 하나인 ‘Fryl’ 유전자를 제거했죠. 그런데 오디션 과정에서 콩팥이 커지는 현상이 발견됐습니다. 스타가 되려고 하니 일이 술술 잘 풀리더라구요. 인간 과학자들이 꾸준히 연구해서 콩팥이 커지는 이유를 밝혀냈거든요. 2018년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데이비드 리우 미국 브로드연구소 교수팀이 모든 유전질환을 최대 89%까지 치료할 수 있는 최신 유전자 가위 기술인 ‘프라임 에디팅(Prime editing)’을 개 ...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고통으로 괴로워하는 유전질환자들에게 희망을 안겨줄 혁신적인 유전자 치료제가 공급될 날을 기대해 본다 ... ...
- [Go! Go! 고고학자] 닭을 처음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의 생물학자인 칼로스 드리스컬은 약 10년 동안 전 세계의 고양이 유전자를 수집했어요. 그 결과, 모든 고양이가 중동에 사는 ‘리비아살쾡이(왼쪽 사진)’의 자손이라는 점이 드러났어요. 칼로스 드리스컬은 아마 1만~1만 2000년 전, 중동 어딘가에서 고양이가 사람과 처음 살기 ... ...
- [지구사랑탐사대] 이 조그만 벌레가 생물계의 슈퍼스타? 선충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키우기 쉬워요. 거기다 몸이 투명하고, 인간이 가지고 있는 핵심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유전자의 영향을 관찰하기에도 편리하지요. 지금도 전 세계의 유전학 실험실에서 예쁜꼬마선충으로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답니다. 과수원 바닥에서 선충을 찾아라!지구사랑탐사대가 모인 곳은 달콤한 향이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