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d라이브러리
"
은하
"(으)로 총 1,322건 검색되었습니다.
[Photo] 남쪽바다에 뜬
은하
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훨씬 두껍고 짙은
은하
수와 마젤란
은하
(북반구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은하
수 아래로 커튼처럼 드리워져 있는 녹색의 대기광까지 모든 것이 신비롭다. 이 작품은 한국천문연구원과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23회 천체사진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차지했다. 우주의 깊고 광대한 ... ...
[과학뉴스] 먼지 같은 존재? 우주먼지는 아냐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모아주는 역할을 한 것. 왓슨 교수는 “관측한
은하
는 빅뱅 후 7억 년 뒤에 만들어진 초기
은하
”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3월 2일자에 실렸다 ... ...
[Knowledge] 인골의 비밀 사연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이준정 교수와 함께 ‘호남고고학보’에 흥미로운 논문을 썼습니다. 연구팀은 전북 완주
은하
리와 당진 우두리에 위치한 6세기 석실묘 1기 등 5개의 백제 석실묘, 석축다장묘에서 출토된 인골 15개체에 대해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했습니다. 그 결과 묘에 묻힌 사람들이 벼와 보리, 콩 ... ...
[Life & Tech] EXO직캠 찍어볼까?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태양이 아닌 다른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을 말한다(당연히 태양계 바깥에 있다). 우리
은하
에만 수십억 개의 외계행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그런데 슈나이더가 알려준 방법으로 외계행성을 찾는 일이 진짜 가능할까?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에 연락해봤다. “외계행성이요? 그건 아직 ... ...
[Knowledge] 절대공간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물에 모종의 힘을 작용해서 물 표면이 오목해진다고 생각했다. 만약 이런 별이나
은하
같은 물질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물만 있다면, 제아무리 물이 돈다고 하더라도 표면이 오목해지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물 표면이 오목해지지 않는다면 어떤 방법으로도 절대운동인지 아닌지 알아낼 수 있는 ... ...
베일 벗은 ‘페르미 버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3호
태양보다 더 뜨겁답니다.연구팀은 입자의 성분과 속도를 근거로 약 200만 년 전에 우리
은하
중심에서 거대한 폭발이 있었을 거라고 추정하고 있어요. 폭발의 원인으로는 초신성 폭발이나 블랙홀 폭발이 꼽히고 있답니다.*버블 : X선과 감마선을 내뿜는 우주입자가 물거품처럼 퍼져 있어 붙은 이름 ... ...
[과학뉴스] 세계 최대망원경 LSST 봄부터 건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전체를 3일 만에 촬영할 수 있는데, 이는 허블우주망원경으로 120년이 필요한 작업이다.
은하
의 구조를 밝혀내거나 초신성을 찾는 일에 쓰일 예정이다. 과학자들은 무엇보다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증거를 찾는 데 LSST가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핵심 부품인 20t짜리 오목거울은 1월 초 ... ...
[Knowledge] 초속 299,792,458m를 약속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25광년 떨어져 있다. 맨 눈으로도 볼 수 있을 정도로 지구와 가장 가까운 안드로메다
은하
도 무려 250만 광년 떨어져 있다. 우리가 보는 안드로메다의 모습은 250만 년 전의 모습이다. 우리가 보는 빛이 안드로메다를 떠났을 때 현생 인류는 지구에 없었다. 과거를 보려면 멀리 볼 일이다. 복작복작 ... ...
PART 5. 중력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형성과정을 알아낼수 있을 것이다. 또 무거운 별의 마지막 진화과정을 관찰하고 우리
은하
중심부의 중력장을 파악하며 우주를 한층 더 깊이 이해해나가리라 기대한다.몇 년 전 미국에서 열린 라이고-버고 연례총회에서 필자는 매우 인상적인 이야기를 들었다. 라이고 과학협력단 대변인이 라이고 ... ...
[과학뉴스]
은하
의 자기장초상화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방향에 따라 자성을 띄기 때문이다. 사진에서 중앙부는 별이 밀집한
은하
계 중심부(
은하
수)다. 자기장 밀도가 높은 지역은 빨간색으로 표시했는데, 별이 밀집한 곳에 성간물질도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중심에서 벗어날수록 별과 성간물질이 점점 옅어진다. 파란색일수록 자기장 밀도가 낮은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