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대학"(으)로 총 2,4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시민과학 앞장서는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와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팀이 함께하는 시민과학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에 기쁜 소식이 있어요. 지난 7월 24일, ‘화분매개자 탐사’를 이끄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오통스 세레 연구원이 지구사랑탐사대의 운영 방식이 시민과학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연 ... ...
- 비자림로 확장 논쟁 2 삼나무 토양 산성화?! VS 생명의 보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비자림로 공사 구간은 나 팔색조와 다양한 생물 친구들이 사는 서식지야. 하지만 이곳에 심어진 삼나무가 인간과 제주 자생식물에게 해롭다며 베어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 근데 삼나무가 왜 해롭지? 삼나무가 토양 산성화를 일으킨다?삼나무는 비자림로를 30년 넘게 지켜온 터줏대감이지만, ... ...
- [현장취재] 탐험으로 만나는 더 큰 세상! 탐험대학 제주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지난 6월 28일, 제주 중문 대포포구 근처 바다 위 요트에서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어요.“탐험대학 파이팅!”요트엔 우주, 로봇, 생태 분야 진로를 꿈꾸는 청소년 30명과 전문가들이 타고 있었어요. 이들은 앞으로 2박 3일간 함께할 탐험을 앞두고 기대감을 감추지 못했지요. 제주캠프 현장으로 가 볼까 ... ...
- 붉은 수돗물, 어떻게 없앨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아무리 수치가 기준치 이하라도 붉은 물을 보고 안심할 순 없죠. 그런데 상수도관에 붉은 물을 만든 녹과 물때가 생기지 않도록 미리 없앨 순 없는 건가요? 상수도관도 청소가 필요해붉은 수돗물 사태는 무리한 수계 전환이 원인으로 지목됐어요. 하지만 전문가들은 더 근본적인 원인으로 상수도관 ... ...
- [핫이슈] 마이펫의 이중생활2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반려견과 인간, 누가 누굴 돌보는 걸까? 7월 31일에 개봉하는 애니메이션 는 2016년 큰 인기를 끌었던 의 두 번째 이야기예요. 반려인이 집을 비운 사이에 벌어지는 반려동물의 행동을 귀엽고 재치 있게 그린 시리즈지요.신작에서는 강아지 ‘맥스’가 동물 ... ...
- 달 착륙 50주년, 다시 달의 땅 밟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올해 7월 20일은 아폴로 11호가 달의 땅을 밟은 지 50주년이 되는 날이에요. NASA는 이를 기념해 지난 5월, 2024년 다시 달에 착륙하는 프로젝트를 발표했답니다. 달을 넘어 화성으로! 아르테미스 계획NASA가 발표한 달 착륙 프로젝트의 이름은 ‘아르테미스’로,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달의 여신이자 아 ... ...
- [출동!기자단] 치약, 로션, 샴푸 ···앗! 여기에 미세플라스틱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지난 5월 28일, 서강대학교 화학과 신관우 교수님 연구실에 기자단 친구들 4명이 찾아갔어요. 친구들의 손에는 샴푸, 치약, 로션 등이 들려 있었지요. 교수님께 드리는 선물일까요? 이건 사실 생활용품 속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찾기 위한 실험 재료랍니다. 기자단 친구들은 정말 실험에서 미세플라스 ... ...
- [특별인터뷰] 한국의 도시 생태를 연구하는, 오통스 세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벌써 3년째 지구사랑탐사대를 함께 한 프랑스인 연구원이 있어요. 바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의 오통스 세레 연구원이 그 주인공이지요. 어쩌다 한국에 오게 됐는지, 지사탐 활동이 그녀에겐 어떤 의미가 있는지 궁금했던 기자가 모든 것을 직접 물어봤답니다. Q프랑스에서 어떻게 한국에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교육은 우리가 꿈을 마음속에 그리도록, 그리고 그 꿈을 추구하도록 만든다고 믿습니다.(I strongly believe that education enables us to envision and to pursue our dreams)”_무카이 치아키 벌써 2019년 마지막 달 과학동아에 실릴 글을 쓰고 있다는 사실이 실감나지 않는다. “이소연 박사가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11월 12일 대전 유성구 한국기계연구원(KIMM) 대기압플라스마연구실. 연구실에 들어서자 반도체 생산설비 규모에 입이 벌어졌다. 약 66m2에 이르는 연구실의 3분의 2를 반도체 생산설비가 차지하고 있었다. 이대훈 UST-한국기계연구원 캠퍼스 환경에너지기계공학전공 교수는 “삼성전자에서 기증받았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