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 그래서 이과가 충전식 휴지를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다 쓴 휴지심 위에서 버섯 균사체를 키운다면 어떨까요. 류재산 국립한국농수산대 버섯학과 교수는 “종이도 버섯이 이용할 수 있는 유기물”이라고 했습니다. 나무를 원료로 만드는 종이의 주성분은 셀룰로오스입니다. 버섯이 효율적으로 분해해 탄소 공급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질이죠. 류 ... ...
- [매스미디어] Formula of Love : O + T = < 3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삼각함수 트와이스가 앨범을 발표하고 하루 뒤인 2021년 11월 13일 김상욱 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가 트와이스의 ‘SCIENTIST’ 속 가사 일부를 과학자의 시선으로 재해석해 화제가 됐어요. 가사 속 삼각비 개념을 함께 알아봐요. ‘SCIENTIST’에는 ‘왜 그렇게 각을 재 sin, cos도 아니고’라는 가사가 ... ...
- [함께해요, 로블록스 코딩] 폴리매스 방탈출 게임, 그 시작!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이끌어갈 오규환 교수님께 직접 들어볼까요? 안녕하세요. 오규환 아주대학교 미디어학과 교수입니다. 저는 2014년부터 와 게임카페, 게임 디자인 씽킹을 함께 했어요. 올해는 여러분과 로블록스로 여러 게임을 만들어볼 예정이에요. 게임을 만든다는 것은 또 다른 세계를 창조하는 ... ...
- [인터뷰]“혁신 교육과 세계적 연구, 창업이 공존하는 공대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확보하는 방안도 지속한다. 새로운 학제도 시도된다. 이 학장은 “2022년부터는 ‘무학과제’를 40명 대상으로 일부 시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공계, 특히 공대에서 다양성을 확보하는 문제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대 공대의 교수 318명 가운데 여성 교원은 17명이다. ... ...
- 우주, 미래 산업의 무대가 되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하는 분야라 정부 정책의 일관성도 매우 중요하다. 미국의 경우 스타트업은 물론 대학과 기업, 연구소, 영국과 일본을 포함한 다양한 동맹국 등 파트너와 우주 분야에서 더 적극적인 민관군산학연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미국의 행보는 2019년부터 급격히 심화되고 있는 미국과 중국 간의 경쟁이 ... ...
- [과학뉴스] 수능 생명과학Ⅱ 출제 오류, ‘진실을 외면해야’ 답을 낼 수 있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사태는 더욱 커졌다. 집단유전학 전문가인 조너선 프리처드 미국 스탠퍼드대 유전생물학과 석좌교수는 12월 11일 트위터에 문제에 관한 해설을 공유하며 오류를 지적했다. 해설을 작성한 프리처드 교수팀의 매튜 아기레 연구원은 “문제가 지나치게 어려울 뿐 아니라 푸는 것이 불가능하다”며 ... ...
- [이달의 책] 궁극의 이론을 향한 물리학자의 여정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책 ‘우리는 어떻게 우리가 되었을까?’를 쓴 이상희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 인류학과 교수도 인류 진화 속에서 지워진, 사라진, 뭉개진 여성을 찾는 학자다. 그는 이전에 집필한 ‘인류의 기원’의 영문판 표지에도 사냥하는 여성을 묘사한 삽화를 담고 제목으로 ‘mankind’ 대신 ... ...
- 뉴 스페이스를 이끌고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다르다”고 말했다.스타트업만이 가지는 어려움도 있었다. 차 선임연구원은 항공우주학과에 진학해 박사 학위를 받을 때까지 한길만 걸었다. 학업을 중단하고 싶지 않아 군대도 미룰 정도였다. 원하는 일과 딱 맞는다고 생각해 이노스페이스에 입사했을 때만 해도 천직을 찾은 것 같았다. 하지만 ... ...
- [이달의 식물사연] 겨울에 만나는 아카시아 꽃의 비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인간과의 공생을 도모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필자소개박원순. 서울대 원예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롱우드 가든에서 국제 정원사 양성 과정을 밟았으며, 델라웨어대에서 대중원예 석사 학위를 받았다. 에버랜드에서 식물 전시를 담당하다가 현재는 국립세종수목원 전시기획운영실장으로 재직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용암동굴에서 어떻게 석회동굴 생성물이 자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지질지구물리학부 지질학 교수)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강원대학교 지질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 IUCN 세계자연유산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있다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