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문
d라이브러리
"
학위논문
"(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겨울에 접어들면 첫눈이 내릴 날을 기다리게 된다. 소매 위에 내린 하얀 눈을 자세히 보면 다채로운 6각형 모양이다. 도대체 어떻게 물이 얼면서 이렇게 정교한 모양을 만들어낼까. 눈 결정의 비밀은 그 구성 물질인 물 분자, 즉 H2O의 구조 때문이다. 광물인 석영도 마찬가지다. 석영 원석을 보면 투 ... ...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지난 10월 6일 노벨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물리학상(7일), 화학상(8일) 수상자가 발표됐다. 올해 노벨과학상은 각 분야에서 3명의 공동수상자를 배출했다. 분야별 국내 전문가가 수상자들의 연구 업적과 수상 의의를 자세히 소개한다. 특히 이번에는 일본 출신의 미국 과학자 1명을 포함해 일본 과학 ... ...
융합은 아이디어의 보고(寶庫)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박사과정 시절부터 필자의 주된 관심사는 물질이 nm(나노미터, 1nm=10-9m) 크기로 작아지면 어떤 특성을 갖느냐는 점이었다. 그리고 어떻게 하면 nm 크기의 물질을 실생활에 유익하게 쓸 수 있느냐는 문제였다.박사과정에서는 유기분자와 나노구조의 물질을 접목해 현재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DRAM(동적 ... ...
부산 과학영재를 글로벌 리더로 이끈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2003년 개교한 장영실과학고는 한국과학영재학교와 더불어 부산을 대표하는 과학영재교육의 산실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지난해 대입에서 KAIST에 50명, 포항공대에 14명, 서울대에 18명, 연세대에 20명이 합격하는 실적을 올렸다. 특히 KAIST는 전국 18개 과학고 중 재학생 대비 합격생 비율이 두 번째로 ... ...
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메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올해 노벨 화학상은 녹색형광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이하 GFP)을 발견하고 생명과학 연구에 적용한 공로를 인정받은 과학자 3명이 공동으로 수상했다.일본인 시모무라 오사무 박사는 발광 해파리인 에쿼리아 빅토리아(Aequorea victoria)에서 GFP를 분리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미국인 마틴 찰피 교 ... ...
한국어가 영어 학습에 방해?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한국어에서는 동사가목적어의 앞이 아니라 뒤에 온다.그래서 ‘철수가 먹었다 밥을’이 아니라‘철수가 밥을 먹었다’가 된다.… 한국어와 영어는 서로를 거울에 비춘 언어다.- 스티븐 핑커, ‘언어본능’한국어* 원서는 ‘일본어’이나 한국어판에서 ‘한국어’로 의역했다. 둘의 어순이 같기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1993년 양자 원격전송에 관한 개념을 처음으로 발명했다.그 순간을 기억하는가?나 혼자 발명한 것이 아니다. 사실은 동료 6명의 합작품이다.내 이름이 알파벳 순서에서 맨 앞에 있기 때문에 ‘득’을 많이 본다(웃음). 어쨌든 그 순간은 굉장히 재밌었다. 1992년 가을 윌리엄 우터스 박사(6명 중 한명이 ... ...
마법 같은 제2의 양자혁명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과거와 현재를 포함해 3명과 식사할 수 있다면 당신은 누구를 선택하겠는가? 세계 최초로 양자 원격전송 실험에 성공한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안톤 자일링거 교수는 알버트 아인슈타인을 가장 먼저 꼽았다. 그에게 최근의 양자 얽힘 실험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고 싶어서란다. ‘유령’같은(spooky) ... ...
영어 학습, 빠를수록 좋은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10월 9일 한글날이 되면 우리는 늘 올바르지 못한 우리말 사용을 반성하면서 세종대왕에게 미안한 마음을 표현하곤 한다. 그런데 이제는 이런 마음의 여유도 없는 듯하다.영어를 잘해야 살아남는다는 절박감이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우리말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유아들을 외국인 보모에게 맡기고 ... ...
자기조립의 꿈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이름 권성훈! 나이 서른 넷! 한국 나이 이제 겨우 서른 넷! 그런데 벌써 명문대 교수! 2006년 서울대 전기 컴퓨터공학부 교수로 부임. 그때 나이 서른 둘! 2년 만에 ‘네이처 머티리얼스’ 표지 논문 게재! 토끼 같은 두 딸을 둔 아빠! 모든 것을 다 가진 당신은 욕심쟁이 우후훗~!마이크로트레인으로 자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