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항공"(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담수담] 엔지니어, 개발자에 이어 천체사진가까지 직업을 바꿔도 수학은 항상 내 곁에!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남기려고 사진 찍는 법을 배웠습니다. 그렇게 취미로 하던 일이 지금은 직업이 됐고,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선정한 ‘오늘의 천체 사진’에 제 작품이 여러 번 뽑히기도 했죠.2019년에도 수학동아와 인터뷰했는데, 당시 제가 생각하는 천체사진가에 대해 ‘밤하늘의 경이로움을 다른 이들에게 ... ...
- [한페이지 뉴스] ‘슈퍼지구’ 글리제 1132 b가 대기를 갖게 된 이유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약 41광년 떨어진 외계행성으로 2017년 4월 대기의 존재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유럽우주국(ESA) 등 공동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 관측 데이터와 컴퓨터 모델링 추론을 바탕으로, 글리제 1132 b의 대기가 화산활동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연구결과를 3월 9일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 ... ...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때는 물로켓을 만들어서 대회에 나갔던 기억이 있고요. 대학 때엔 로켓 동아리랑 모형 항공기 제작 동아리도 했어요.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여기까지 오게 됐네요. 과동 : 로켓 분야 ‘성덕(성공한 덕후)’이시니까, 혹시 과학의 날 행사에서 물로켓 잘 날리는 노하우도 알려주실 수 있나요 ...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달 및 행성과학 학회에 특별 세션으로 ‘테라포밍 세미나’가 처음으로 열렸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행성과학자 크리스 맥케이는 1991년 동료들과 함께 이후 30년간 화성 테라포밍의 정석이라 여겨질 아이디어를 냈다. 화성 토양과 극지에 있는 온실가스를 이용하면 얇은 대기층을 보완하고 물이 ...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차세대중형위성은 어떤 속도로 우리 지구를 돌까요? 차세대중형위성을 개발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차세대중형위성이 고도 약 500km에서 원 궤도를 돈다고 밝혔습니다. 그럼 중력 상수와 지구의 질량은 정해져 있으므로 공식에 지구 중심으로부터 인공위성까지의 거리를 대입해 계산하면 속도는 ... ...
- [한페이지 뉴스] 공기 희박해도 OK 빛으로 비행하는 비행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저항을 이용해 양력을 얻는 항공기는 성층권 하부까지만 날 수 있다. 그보다 고도가 높은 중간권 영역은 대기의 밀도가 낮아 양력을 받기 힘들기 때문이다. 대신 중간권 영역에는 강한 태양 빛이 비치고 있다. 이고르 바르가틴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응용역학 및 기계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독일 함부르크대에서 물리학과 해양학 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으며,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에서 기후, 해양 및 고체지구과학 부문 박사후연구원, 노르웨이 극지연구소에서 해빙원격탐사 연구원을 지냈다. 극지 기후를 이해하기 위한 해빙원격탐사가 주 연구 분야다. gunnar.spreen ... ...
- [기획] 소수점 이하 50조 번째 자릿수까지 나왔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사용하지 않습니다. 되레 다른 계산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주 연구나 항공 분야에서도 소수점 아래 수백 번째 자릿수 이하 수준의 정확도를 가진 원주율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각에서는 컴퓨터 알고리듬의 등장과 발전으로 인해 원주율 계산이 가졌던 수학적 가치가 크게 ... ...
- [한페이지 뉴스] 10월 발사 ‘누리호’ 첫 연소시험 3월엔 ‘차세대중형위성’ 발사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차세대중형위성 1호에는 흑백 영상 기준 해상도 50cm급 광학탑재체가 실렸다. 박종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연구소 차세대중형위성사업단 책임연구원은 “발사 후 약 2개월간 본체와 탑재체 성능을 점검하는 초기운영을 마치고 오는 6월부터 본격적으로 정밀지상관측 영상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팀에서 금성 연구를 했다. 현재 독일 베를린공대에서 ESA-JAXA의 베피콜롬보팀, 독일항공우주센터(DLR)의 외계행성연구팀과 연구를 하고 있다. y.j.lee@astro.physik.tu-berlin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