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
대양
대해
해운
해사
해
d라이브러리
"
해양
"(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호와 맹그로브의 천국 태평양
해양
과학기지에서 꿈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기아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고 싶었다”며 “이번 캠프에서 다양한
해양
동물을 보며 심해생물을 연구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생물을 해부하며 징그러워하면서도 열정적인 탐구 자세로 임한 박지민 군(서울 장훈고 2학년), 그리고 생애 첫 스쿠버다이빙에 도전하며 ... ...
해양
생물의 깜짝 변신! 바다 보물도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백진욱(국립
해양
생물자원관 분류연구실 선임연구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해양
생물의 깜짝 변신! 바다 보물도감Part1. 조상의 지혜로 만든 바다의 보물은?Part2. 몸속으로 들어간 바다의 보물Part3. 지구 지킴이가 된 바다의 ... ...
Q. 오염수를 왜 바다에 버리려고 하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수 있는 방안으로 크게 5가지를 고려하고 있다”며 “오염수를 정화하고 희석한 뒤
해양
에 방출하는 방안은 그중 하나이며, 이는 일본 입장에서 가장 저렴하면서 손쉬운 해결 방안”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핫이슈]도전! 캐나다 탐험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구명조끼 입었나요? 캐나다의 바다를 만나볼 시간이에요. 아름다운 바다 풍경과 다양한
해양
생물을 만나러 캐나다 밴쿠버 섬으로 가상 투어 출발! 맑은 하늘에 햇빛이 부서지는 푸른 바다. 한 시간 정도 배를 타고 이동하자 바다 한가운데서 하늘로 솟아오르는 물줄기가 보여요. 곧바로 커다란 ... ...
[과학뉴스] 사람 때문일까? 돌고래도 항생제 내성 피해 본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항생제 내성이 인간에게서 분리한 병원체의 항생제 내성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며 “
해양
생물도 인간의 항생제 사용에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수생 포유류’ 9월 11일자에 실렸다. doi: 10.1578/AM.45.5.2019.53 ... ...
Q. 방류하면 1년 안에 동해가 오염된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최 책임연구원은 불확실한 예측보다는 정확한 관측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
해양
방사능 감시체계를 제주도 남방 지역까지 확대해 총 32개 지점에서 적게는 3개월에 1번씩, 많게는 2주에 1번씩 해수의 변화를 관측하고 있다”며 “장단기 변화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오염수 유입 여부를 정확하게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라니냐 ·멜라토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것을 보고 아기 예수가 찾아왔다는 뜻으로 ‘엘니뇨’라고 불렀지요. 이후 1985년 미국
해양
학자 조지 필랜더가 엘니뇨의 반대 현상을 ‘라니냐’라고 이름을 붙였답니다. ‘멜라토닌’은 ‘어두운’ 혹은 ‘검정색의’라는 뜻을 지닌 그리스어 ‘멜라스(Melas)’와 ‘세로토닌’이 합쳐진 ... ...
[수학뉴스] 물고기의 움직임 포착해
해양
생태계 지킨다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호주 퀸즐랜드공과대학교 수리과학과 교수팀은 이곳에서 어린 물고기의 이동을 관찰해
해양
생태계를 지킬 수 있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연구팀은 먼저 2년 동안 그레이트배리어리프의 아기 산호 송어 1190마리와 다 큰 산호 송어 880마리의 움직임을 관찰했습니다. 이미 정착한 다 자란 ... ...
너의 발에 날개를 달아줄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4월
해양
에서 수거한 플라스틱 폐기물을 활용해 만든 한정판 러닝화 6종을 출시했다.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을 이용해 신소재 원사를 만들고 이것을 뜨개질 해 갑피를 만들었다. 갑피는 모양도 중요하다. 일반 운동화 시장에서 뉴트로(새로운(new) 복고(retro)라는 뜻으로 복고를 새 시각으로 ... ...
산불이 매년 찾아오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기후로 설명하려는 과학자도 있어요. 작년 전남대학교 정지훈 교수팀은 아시아 주변의
해양
온도, 대기 온도, 기압 등 여러 요인과 36년 동안의 산불 발생량을 비교해 봤어요. 그 결과 서태평양과 인도양 지역의 해수면 온도 차이가 크고, 남중국 지역 1500m 고도에서 바람이 거의 없었던 겨울의 다음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