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장
사고
공사장
d라이브러리
"
현지
"(으)로 총 596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마틴에게 수십 차례 이메일을 보내며 꼭 참가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지요.”캐나다에서
현지
적응 훈련을 마친 폴투폴 참가자들은 프로젝트의 출발점인 북극으로 향했어요. 밤 10시가 지나도 아침처럼 희뿌연 빛으로 가득한 북극의 백야를 경험하며 비로소 북극에 와있다는 걸 실감할 수 있었지요. ... ...
보르네오 밀림에서 정체불명의 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모른다”고 말했다. 이반 연구를 주관한 WWF의 스티븐 월프래트 박사는 “사진을 본
현지
주민이나 야생동물 전문가들도 처음 보는 동물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런던동물학회의 닉 아이작 박사는 “이번 발견만으로 이 동물이 새로운 종인지 밝히는 것은 어렵다”며 “이 동물의 털을 얻는다면 ... ...
세계를 자석으로 끌어당기는 기업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국내시장의 85%를 차지한다. 허름한 기와 공장 건물은 어느새 중국과 말레이시아에
현지
공장을 둔 종업원 3천명의 중견기업으로 성장했다. 2004년 당기순이익만 171억원을 냈고, 수출액이 전체 매출의 85%를 차지한다.그가 말하는 성공 비결은 간단하다.“저는 경영자라기보다 100% 엔지니어라고 ... ...
지구온난화의 역습 카트리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동태평양 일대에서 생기는 태풍을 허리케인이라고 부른다. 미국 국립허리케인센터(NHC)는
현지
시간으로 8월 23일 남동쪽 바하마 해상에서 강한 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이 저기압은 다음날 허리케인으로 ‘업그레이드’됐다. 이것이 바로 카트리나. 26일 미시시피와 루이지애나주로 ... ...
한국 과학자들이 칭기즈칸 일족의 비밀 벗긴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불리는 이곳은 한때 일본 고고학 연구팀이 ‘눈독’을 들이며 접근하려 했지만
현지
주민들이 반대해 무산된 적이 있던 곳이다.나왕 교수팀은 여기서 두 개의 목관을 발견했는데 각각에서 남자와 여자 유골이 비교적 잘 보존돼 있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들 남녀가 손가락에 송골매 문양이 새겨진 ... ...
북한 전력 사정이 위험 요소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북한이 현재 개발 중인 핵무기 폐기에 합의하면 200만kW 전력을 제공하겠다는 ‘대북 중대제안’이 공개되면서 그 실현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 우리가 제공한 전기를 감당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며 “본격적인 사업에 앞서 북한
현지
상황을 좀더 자세히 알아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 ...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과학자들이 혜성의 속살을 보고 싶어하는 이유다.태양계의 타임캡슐 열기2005년 1월 12일(
현지
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기지에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로켓 하나가 발사됐다. 이 로켓에는 ‘딥임팩트’라는 이름의 우주선이 실려 있었다. 지구에서 1억3400만km 떨어져 있는 혜성 ... ...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발자국이 익룡 발자국과 겹쳐있다. 두 개체의 ‘공존’을 상징하는 증거다. 1991년 우연히
현지
를 방문한 외국학자에게 발견된 이들 새발자국은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물새 발자국으로 기록됐다.이처럼 최근 한반도 공룡 연구는 세계 공룡연구사에서 지금까지 풀리지 않던 몇가지 문제에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오른편에 조명 들어온다. 때는 2005년. 톰슨과 이배아, 텔레비전에서 황우석 교수의 영국
현지
기자회견을 보고 있다.)이배아 : (화면을 뚫어져라 쳐다본다) 아빠, 작년에 텔레비전에 나왔던 그 아저씨야!톰슨 : 맞다, 황우석 교수야. 세계 최초로 환자에게서 배아줄기세포를 얻었다고 발표하는 거란다 ... ...
신문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역시 지난해 쓰나미가 동남아시아를 강타했을 때 신문에 쓴 사진의 대다수가 동남아
현지
에서 관광객들이 휴대전화로 찍어 보낸 것이었다. VG 논설주간 토리 페더슨은 “예전엔 대형 참사 취재를 위해 헬기와 취재장비를 확보하는 게 관건이었지만 이젠 카메라폰을 가진 독자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